2024.02.15 (목)

  • 흐림동두천 7.0℃
  • 흐림강릉 6.1℃
  • 서울 8.1℃
  • 대전 11.6℃
  • 박무대구 9.1℃
  • 구름조금울산 12.8℃
  • 박무광주 11.8℃
  • 박무부산 14.3℃
  • 흐림고창 8.3℃
  • 구름조금제주 14.3℃
  • 흐림강화 4.4℃
  • 구름많음보은 9.0℃
  • 구름많음금산 9.2℃
  • 구름많음강진군 11.4℃
  • 흐림경주시 8.4℃
  • 구름많음거제 12.6℃
기상청 제공

전체메뉴

닫기

차미리사(車美理士) 선생 독립유공자 · 덕성학원 설립자(고종 16: 1879~1955) "살되, 네 생명을 살아라 생각하되, 네 생각으로 하여라 알되, 네가 깨달아 알아라“

차미리사 선생은 1879년 8월 21일(음력) 서울 아현동에서 ‘섭섭이’라는 이름으로 태어났다.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덕성여자대학교

설립자 차미리사 선생
 최종 수정일 : 2021-12-03 10:24
차미리사 선생
차미리사(車美理士) 선생 독립유공자 · 덕성학원 설립자(고종 16: 1879~1955)

"살되, 네 생명을 살아라
생각하되, 네 생각으로 하여라
알되, 네가 깨달아 알아라“

 

차미리사 선생은 1879년 8월 21일(음력) 서울 아현동에서 
‘섭섭이’라는 이름으로 태어났다. 
열일곱에 출가하여 딸 하나를 낳고 
3년 만에 남편 김씨와 사별한 후 

기독교를 받아들여 상동교회에서 
‘미리사’라는 세례명을 받았다. 
이후 그는 교회의 관습에 의거하여 
남편 성을 따라 ‘김미리사’라는 이름으로 사회 활동을 하였다.

차미리사 선생은 스물 셋의 나이에 
중국으로 유학을 떠났다(1901). 
이때 남겨두고 온 어린 딸과 늙은 어머니에 대한 걱정, 
외국어를 배우며 고학하느라 
심신이 지쳐 지독한 열병을 앓았다. 

그리고 그 후유증으로 
평생 남의 말을 잘 알아듣지 못하는 고통에 시달렸다. 

중국 유학을 마친 차미리사 선생은 
다시 미국으로 건너가(1905), 
교육 구국을 목적으로 조직된 대동교육회 발기인이 되었다(1907). 

이것이 그의 첫 국권 회복운동이었다. 

미국으로 건너간 이후 교육 운동, 사회활동, 독립운동, 
언론활동 등을 활발하게 펼친 차미리사는 
미주리주 캔사스에 있던 
스캐리트 성경학교(The Scarritt Bible and Training School)에 입학하였다(1910). 

학업을 마친 후, “외국에 있느니 보다는 
차라리 고국에 돌아와서 여러 동지들과 손을 잡고 
직접으로 사회의 일도 하며 청년 여성을 교육시키어서 
우리의 실력을 양성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귀국하였다(1912). 
조국을 떠난 지 10여 년만으로 그의 나이 서른 네 살 되는 해였다.

귀국 후 배화학당 사감 및 교사로 있으면서 
학생들에게 민족정신을 불어 넣어주는 교육을 하던 
차미리사 선생은 3·1 운동이 발발하자 독립정신을 
이어받아 조선여자교육회를 조직하고 
산하에 부인야학강습소를 설치하였다(1920). 

이는 여성의 손에 의해 만들어진 
자립적(自立的)·자생적(自生的)·자각적(自覺的) 여성 교육기관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차미리사 선생은 여성이 인격적으로 독립하기 위해서는 
남성처럼 교육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그가 주 교육 대상으로 삼은 여성들은 적령기 학생들이 아니라 
여성의 대다수를 차지하며 배움의 기회로부터 소외된 가정부인들이었다. 

차미리사는 선생은 순전히 여성들로만 구성된 전국순회강연단을 
조직하여 가정부인들을 
대상으로 낡은 관습 낡은 사상 타파, 생활 개조, 여성 교육, 여성 해방, 
남녀평등, 신문화 신사상을 고취하는 계몽활동을 하였다(1921). 

그리고 전국순회강연회에서 모은 성금으로 청진동에 사옥을 마련하고 
부인야학강습소의 이름을 근화학원(槿花學園)이라 하였다(1923). 
여성들이 주체가 되어 교육운동을 벌인 결과로 세운 
근화학원은 조선 사람의 뜨거운 사랑과 땀과 피의 결정체였다. 

이후 근화학원은 근화여학교로 승격되었으며(1925), 
다시 재단법인 근화학원으로 설립인가를 받았으며(1934), 
산하에 근화여자실업학교를 개교하였다.(1935) 
그러나 일제의 압력으로 근화를 덕성으로 개명하였다(1938).

1930년 대 후반 황국신민화 정책이 노골화되면서 
일제는 차미리사가 민족사상을 품은 교육자라는 것을 문제 삼기 시작하였다. 
조선총독부 학무국은 학생들의 머릿속에 민족 사상을 고취시키기에 열중인 
차미리사에게 교장 자리에서 사퇴하라고 압력을 가하였다. 
교육을 하는 것이 아니라 독립 운동을 하는 것으로 보아 
교장직을 박탈하려 한 것이었다. 
차미리사 선생은 총독부의 압력으로 교육 일선에서 물러났다(1940.8). 
그의 나이 62세 되는 해였다. 

일제 강점기 민족의 독립을 위해 활동했던 
차미리사 선생의 열정은 해방 후 통일 민족국가 수립 운동으로 이어졌다.
 차미리사 선생은 분단정부 수립을 저지하고 통일정부를 수립할 것을 호소하는 
문화인 108인 성명에 동참하였다(1948). 

일생을 민족의 예속과 분단에 맞서 민족 해방과 민족 통일을 위해 노력한 
차미리사 선생은 1955년 6월 1일, 
77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차미리사 선생 사후 47년 만인 2002년, 
정부는 민족의 독립을 위해 노력한 공적을 인정하여 
독립유공자(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국가보훈처가 밝힌 포상 이유는 다음과 같다.

차미리사 여사는 일제의 압력에도 굴하지 않고 
항일민족계몽운동을 전개한 여성독립운동가이다. 
미국으로 건너가 1905∼1910년까지 한인교육기관인 대동교육회, 
대동보국회 회원으로 활동하며 ‘대동’신문 발간에 기여하였고, 
귀국하여 배화학교 사감으로 3.1운동을 겪으면서 
학생들에게 민족의식을 고취시켰다. 

1920년 조선여자교육회를 설립해 
순회강연을 통한 민족의 실력양성을 역설하였고, 
1923년 근화학원(槿花學院)을 설립해 
민족교육과 무궁화사랑운동을 전개했으며, 
1940년 조선총독부의 압력에 의해 
덕성여자실업학교 교장 직에서 물러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