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허가 제도가 중소기업, 소상공인 다 죽이고 일자리를 없앤다. 먹고 살려고 하는 일 마다, 각종 인증, 허가, 등록, 신고해야 한다. 정말 죽을 노릇이다. 영업허가, 영업등록, 영업신고, 안전, 환경, 보건, 품질, 에너지, 신기술/NeT, 신제품/NeP, 소프트웨어, 서비스/디자인, 단체인증, 조달청등록인증, 이노비즈, 벤처, SQ, KC, 해썹(HACCP), 우수건강기능식품(GMP), GAP, 친환경/유기, 할랄, 비건, 코셔, ISO, FSSC, IATF, 클린사업장, 사회적기업, 유망중소기업 등등 수많은 강제, 법정, 민간, 임의 인증제도 들을 없애거나 최소화하고 선택은 기업이 하도록 하여야 한다. 거기다 원료수불부, 생산일지, 판매대장작성, 품목제조보고, 자가품질검사, 유효성평가실험, 건강진단, 위생교육, 실적보고, 자체평가, 영업자 준수사항 등등 쓸데없는 일 하다 세월 다 간다. 일만 열심히 하면 마음 놓고 사업할 수 있어야 한다. 먹고 사는 문제가 해결되어야 건강하며 문화생활을 즐기며 행복하게 봉사하며 오래 살 수 있다. 정부/지자체가 규제/간섭하지 말아야 한다.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4.수입 식품의 안전 • 수입식품의 사전신고 • 식품 및 사료 수입업자에 대한 해외공급업체 검증 프로그램(FSVP) • 공인된 제3자 인증 5.파트너쉽 강화 • 식품안전 감사 및 인증서 발급을 위한 제3자 감사원/인증기관의 인정을 위한 사용자 수수료 프로그램(제안 상태) 6. 기타 • FD&C Act의 보고 대상 식품 등록 조항에 대한 FDA FSMA 개정의 시행(제안된 규칙 제정에 대한 사전통지 상태)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HACCP 도입의 효과(식품업체 측면) • 자주적 위생관리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 위생적이고 안전한 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 위생관리 집중화 및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 • 문제의 근본원인을 정확, 신속하게 밝힘으로써 책임소재를 분명히 할 수 있다. • 원료에서부터 공정별로 모두 적용되므로 종합적인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 PL 등의 다른 활동 및 소비자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 경제적 이익을 도모할 수 있다. 초기에는 많은 인력과 소요예산 증가, 장기적으로는 관리인원의 감축, 관리요소의 감소, 제품 불량률, 소비자 불만, 반품․폐기량 등의 감소로 경제적인 이익의 도모가 가능해진다. • 회사의 이미지 제고와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HACCP마크부착, 광고). 즉,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 회복으로 국민건강에 기여함은 물론 타 업체와의 경쟁적인 영업활동에 유리하게 활용할 수 있다(영업 기회의 선점, 확대). (2) 소비자 측면 • 안전한 식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하여 고객요구사항 만족, 소비자를 보호한다. • 식품선택의 기회를 제공한다(HACCP 마크 부착 제품 선호). (3) 정부 측면 • 사후 위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1.예방관리: • 식품의 현행 우수제조관리기준(cGMP), 위해요소 분석 및 위해기반 예방관리(HARPCHF) • 사료의 현행 우수제조관리기준(cGMP), 위해요소 분석 및 위해기반 예방관리(HARPCAF) • 식품 및 사료의 위생적 운송(ST) • 불순물의 의도적 혼입으로부터 식품을 보호하기 위한 완화 전략(IA) • 농산물의 재배 및 수확, 포장에 대한 기준(PS) 2.점검 및 준수 • 기록 준비 요건: 기록 생성, 관리 및 열람 가능성 • 식품 시설의 등록 개정 • 4가지 시행규칙의 특정 조항에 대한 시행일자 연장 및 명시 3.대응 조치 • 식품 및 사료의 행정적 처분 명령에 사용되는 기준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1. HACCP이란? • 식품안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위해요소를 사전에 확인하여 예방하고, 과학적으로 평가하여 관리하는 체계를 말한다. HACCP = HA(Hazard Analysis) + CCP(Critical Control Point) (2) 기존의 방식과과 다른 점 1) 기존의 식품위생관리 ① 식품위생법 등에 의한 법률적인 규정과 일반위생관리기준, GMP, KS, 품질경영시스템(ISO 9001), 품질관리(QC) 활동 등에 의해 관리해 오고 있다. ② 상기 요소들이 위생관리를 위한 기본요소이나 종전의 관리방식은 위해 발생시 원인규명과 책임소재를 찾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③ 과거의 식품 안전성 보증수단: “일단은 생산, 사후 검사” 2) HACCP에 의한 관리 •‘원료에서 제품’ 모든 공정에 있어서 CCP위주로 집중관리할 수 있다. • 위해요소의 분석대상을 전과정으로 함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 HACCP은 각 제조공정별로 위해 요인을 관리․기록하도록 함으로써 위해발생 요인과 책임소재를 명확하게 파악하는 게 가능하다.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위해의 정의와 분류 1) 위해요소의 정의 인체에 위해를 줄 수 있는 생물학적, 화학적, 물리적 인자나 조건 2) 위해의 종류 • 생물학적 위해: 식품 중에 함유되어 있는 병원세균, 리켓치아, 바이러스, 기생충의 감염 또는 이들의 병원체내에서 산생되는 독소의 작용에 의한 건강피해 • 화학적 위해: 식품 중에 함유되는 화학물질의 작용에 의한 건강피해 • 물리적 위해: 식품 중에 함유되는 이물의 물리적인 작용에 의한 건강피해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OMRI 목록 OMRI의 인쇄 및 웹 버전 목록과 포괄적인 웹 검색은 유기농 커뮤니티에 유기농 사용이 허용된 제품 및 재료에 대한 정확한 최신 정보를 제공합니다. 현재 OMRI 제품 목록은© 아래 링크를 사용하여 무료 PDF 다운로드로 제공됩니다. OMRI 검색에는 USDA 국립 유기농 프로그램 표준에 대한 OMRI 제네릭 재료 목록, 캐나다 유기농 제도 표준에 대한 OMRI 캐나다 표준 매뉴얼 및 멕시코 유기농 제품법 표준에 대한 OMRI 멕시코 표준 매뉴얼©©의 재료에 대한 이러한 목록©과 정보가 포함됩니다. 인쇄된 목록은 아래 링크를 사용하여 OMRI에서 직접 주문할 수 있습니다. OMRI 제품 목록 유기농 생산 또는 가공을 위한 가장 완벽한 제품 디렉토리로, USDA 국립 유기농 프로그램 표준에 "OMRI 등재"® 된 9,000개 이상의 제품이 있습니다. OMRI 제품 목록 다운로드 인쇄본 주문 모든 OMRI 콘텐츠 검색 - OMRI 제품 목록 등 OMRI 일반 재료 목록 OMRI의 900 개 이상의 재료와 USDA 국립 유기농 프로그램에 따른 유기농 생산, 가공 및 취급 상태에 대한 권위있는 카탈로그. 2022 제네릭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OMRI 정책 매뉴얼 제안 개정 이해관계자 여러분, OMRI는 정기 출판 개정 주기의 일환으로 유기농 산업에 최상의 서비스를 계속 제공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OMRI 정책 설명서©에 다음과 같은 변경 사항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관심 있는 모든 당사자는 변경 사항 목록을 검토하고 향후 개정에 대한 의견을 제공할 것을 권장합니다. 이해관계자는 아래의 변경 사항 요약을 참조하거나 OMRI 웹 사이트에서 제안된 개정의 전체 목록을 다운로드해야 합니다. 제안된 개정의 전체 목록. 이 개정 주기 동안 검토를 위해 2023년 4월 21일까지 의견을 요청합니다. 이 의견 양식을 사용하여 피드백을 제출하고 의견을 kelseym@omri.org로 이메일로 보내주십시오. 귀하의 의견과 관련된 페이지 번호 또는 섹션 번호도 표시하십시오. 제안된 변경 사항 요약: (또는 제안된 개정의 전체 목록을 다운로드하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1. 새롭거나 개정된 정책 및 절차에 대한 제안: 행정 조사 절차가 추가되었습니다. (§2.10.2) 반박 및 항소 수수료는 결과에 관계없이 환불되지 않습니다. 이는 OMRI가 반박 및 항소 처리와 관련된 추가 비용을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1. 개요 채식주의(菜食主義, vegetarianism)는 동물성 식품을 제한하고 과일·채소·곡물 등 식물성 식품을 섭취하는 식습관을 지향하는 생활 양식이다. 이러한 생활 양식을 가진 사람을 채식주의자(菜食主義者) 또는 채식인(菜食人)이라 부른다. 영어 'vegetarian'을 가리켜 채식인(veget(able) + arian)이라고 하기도 하나#, vegetarianism을 '채식인주의'라고 칭하지는 않는다. 채식을 하는 이유와 목적은 건강이나 체질, 종교, 사상과 신념 등 여러가지가 있으며, 채식주의 가운데서도 이를 엄격하게 고수할 것이냐 유동적으로 시행할 것이냐, 동물성 식품의 범주를 어디까지 허용할 것이냐, 혹은 식사 이외에도 동물으로부터 난 재료의 소비를 원천적으로 거부할 것이냐와 같은 입장은 제각기 상이하다. 2. 종류 2.1. 세미-베지테리언 (Semi-vegetarianism) 2.1.1. 플렉시테리언 (Flexitarianism) 2.1.2. 비덩주의 2.1.3. 폴로-페스코 (Pollo-Pesco) 2.1.4. 락토-오보 (Lacto-Ovo) 2.2. 비건 (Vegan) 육류[6], 가금류, 난류, 어류, 유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공지사항,KS인증심사 수수료 한시적 감면 안내 KS인증심사 수수료 한시적 감면 안내 작성일 첨부파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22-11-09 첨부파일 KS인증심사 수수료 한시적 감면 안내 FITI시험연구원은 최근 코로나 19와 물가상승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기업의 인증 비용 부담을 경감 시키고자 아래와 같이 감면 기간 내에 인증심사를 신청하는 기업에 대해 한시적으로 인증심사 기본 수수료를 20% 감면함을 알려드립니다. - 아 래 - ○ KS인증심사 수수료 한시적 감면 내용 - 감면대상 : 인증심사(신규, 품목추가, 종류 추가 등)를 신청하는 기업 * 동일 기업에 대해 최대 2회까지 감면 - 감면기간 : 2022. 11. 14.(월) ~ 2023. 5. 13.(토), 6개월 간 - 감면비율 : 인증심사 기본수수료의 20% 감면 * 예) 인증심사 기본수수료 50만원인 경우, 40만원으로 10만원(20%) 감면 ※ 자세한 내용은 아래 연락처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FITI시험연구원 인증사업팀 02-3299-8224, 8051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FSSC 22000 선임심사원 유영준은 2023년 3월 23일 실시된 FSSC Harmonization Program 이수하여 이수증를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