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허가 제도가 중소기업, 소상공인 다 죽이고 일자리를 없앤다. 먹고 살려고 하는 일 마다, 각종 인증, 허가, 등록, 신고해야 한다. 정말 죽을 노릇이다. 영업허가, 영업등록, 영업신고, 안전, 환경, 보건, 품질, 에너지, 신기술/NeT, 신제품/NeP, 소프트웨어, 서비스/디자인, 단체인증, 조달청등록인증, 이노비즈, 벤처, SQ, KC, 해썹(HACCP), 우수건강기능식품(GMP), GAP, 친환경/유기, 할랄, 비건, 코셔, ISO, FSSC, IATF, 클린사업장, 사회적기업, 유망중소기업 등등 수많은 강제, 법정, 민간, 임의 인증제도 들을 없애거나 최소화하고 선택은 기업이 하도록 하여야 한다. 거기다 원료수불부, 생산일지, 판매대장작성, 품목제조보고, 자가품질검사, 유효성평가실험, 건강진단, 위생교육, 실적보고, 자체평가, 영업자 준수사항 등등 쓸데없는 일 하다 세월 다 간다. 일만 열심히 하면 마음 놓고 사업할 수 있어야 한다. 먹고 사는 문제가 해결되어야 건강하며 문화생활을 즐기며 행복하게 봉사하며 오래 살 수 있다. 정부/지자체가 규제/간섭하지 말아야 한다.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부부 첩보원·5형제 유격대… 6·25 비정규군 공로자들1 ‘숨은 영웅’ 유족들 초청 간담회 노석조 기자 “등대에 불을 밝혀라!” 1950년 9월 인천상륙작전을 앞둔 시점. 대북 첩보부대 ‘켈로부대’ 요원들에게 인천항 팔미도 등대를 탈환하라는 특명이 떨어졌다. 낙동강까지 밀리며 열세를 면치 못하던 상황. 연합군을 이끄는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은 북한 인민군의 허를 찌르는 인천상륙작전을 결단한다. 낮은 수심의 인천 바다를 가로질러 대규모 전력을 전개하기 위해선 북한군에 점령당한 팔미도 등대를 점등해야만 했다. 이 결정적 임무를 ‘군번 없는 군인’ 켈로부대원들이 맡았던 것이다. 그리고 그들은 등대에 불을 밝혔다. (사진)켈로(KLO)부대의 고(故) 이철(붉은 원) 대원이 전쟁 중이던 1952년 3·1절 행사를 마치고 동료 대원들, 미국 고문관들과 기념사진을 찍는 모습.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대한민국은 원자재를 대부분 수입하고 있다. 농업은 주로 국내 수요를 충족하는 정도다. 쌀과 채소, 과일, 우유, 돼지고기, 닭고기 생산이 발전했고 어업도 발달했다. 대한민국은 국제 무역의 지역적, 세계적 리더 국가다. 세계에서 열째로 큰 수출국이자 여덟째로 큰 수입국이다. 주요 수출 제품은 반도체, 자동차 및 기계 부품, 석유 제품, 선박, 각종 사무 장비 등이다. 수입량이 많은 품목은 원유, 반도체, 천연가스, 석유 제품 및 석탄 등이다. (출처:키이우(우크라이나)=정철환 특파원 편집국 유럽 특파원,조선일보)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한국은 고도의 자본 집중과 기업의 부문별 집중으로 IT(정보 기술)와 금융 등 각종 서비스 산업도 발달했다. 이 분야에서 대표적 기업은 SK그룹, KB금융그룹, 삼성생명 등이다. 또 높은 수준의 공학 기술과 대규모 자본을 바탕으로 세계적 수준의 고속도로와 고속철도망을 갖췄다(출처:키이우(우크라이나)=정철환 특파원 편집국 유럽 특파원,조선일보) “AI·로봇·배터리 산업서도 두각” 한국 경제의 성장 엔진은 첨단 기술 부문이다. 핵심은 전자제품(반도체), 통신 장비(특히 스마트폰), 가전제품, 자동차, 선박 등이다. 최근엔 인공 지능과 로봇 공학, 수소 연료 자동차, 전기 배터리 산업에서도 두각을 보이고 있다. 첨단 무기와 군사 장비 산업도 세계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으며 빠른 발전이 예상된다. 정유, 철강 생산, 화장품 분야도 강하다. 기술 분야에서는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자동차 산업에서는 현대와 기아자동차가 대표적이다.(출처:키이우(우크라이나)=정철환 특파원 편집국 유럽 특파원,조선일보)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한국의 관광 산업과 한국 대중문화 산업도 빠르게 성장 중이다. 한국의 TV 시리즈와 팝 음악은 1990년대 후반부터 아시아 국가들로 퍼져 나갔고 지금은 세계적으로 많은 팬을 확보했다. 이러한 한국 미디어 상품의 국제적 대중화를 ‘한류(K-Wave)’라고 한다. 이 현상의 2차적 효과로 한국은 폭발적 관광 산업 발전을 경험했다. 한류는 대중음악(방탄소년단, 블랙핑크), 영화와 드라마(기생충, 오징어게임) 등에서 돋보인다. 컴퓨터 게임, 화장품, 요리 등도 한류에 기여하고 있다. (출처:키이우(우크라이나)=정철환 특파원 편집국 유럽 특파원,조선일보)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안전인증 등) ① 안전인증대상공산품 제조업자 또는 수입업자는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안전인증기관으로부터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방법으로 그 안전인증대상공산품의 안전인증을 받아야 한다. 1. 공산품 모델(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하는 고유한 명칭을 부여한 제품의 형식을 말한다. 이하 같다)에 대하여 안전인증을 받는 경우에는 제품검사와 공장심사를 모두 거칠 것 2. 일정 수량만 제조ㆍ수입하거나 1회성으로 생산하는 공산품에 대하여만 안전인증을 받는 경우에는 제품검사만을 거칠 것 ② 안전인증대상공산품 제조업자는 안전인증을 받은 사항을 변경하려는 경우에는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하는 방법 및 절차에 따라 안전인증기관에 안전인증의 변경을 신청하여야 한다. <개정 2013. 3. 23.> ③ 안전인증기관은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제품검사의 안전기준 및 공장심사의 기준에 적합한 경우 안전인증을 하여야 한다. 다만, 안전기준이 고시되지 아니하거나 고시된 안전기준을 적용할 수 없는 안전인증대상공산품에 대하여는 관련 국제기준 또는 국내외의 국가표준 등을 준용하여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안전인증을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제2절 안전인증대상공산품 제12조(안전인증기관의 지정 등) ①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공산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공산품의 안전인증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을 지정할 수 있다. ② 제1항에 따라 지정을 받으려는 자는 안전인증을 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험ㆍ검사 설비 및 심사 인력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을 확보하여 산업통상자원부장관에게 신청하여야 한다. ③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제1항에 따라 지정받은 기관(이하 “안전인증기관”이라 한다)에 안전인증업무를 수행하는 데에 필요한 지원을 할 수 있다. ④ 제1항 및 제2항에 따른 지정의 절차 및 방법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한다. <개정 제13조(안전인증기관의 지정 취소 등) ①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안전인증기관이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 지정을 취소하거나 1년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해당 업무의 전부 또는 일부의 정지를 명할 수 있다. 다만, 제1호 또는 제2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 지정을 취소하여야 한다.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글로벌 ESG 관련 주요 이벤트(1) 기후변화에 대한 그동안의 국제적인 논의의 흐름을 알아 본다 (1972) 스톡홀름회의 기후변화 논의 (1978) 미국, 정부윤리법 제정 (1987) UNEP·WCED,브룬트란트 보고서 발간: ESG의 개념을 포함하는 지속가능성에 대한 논의는 1987년 UNEP(유엔환경계획)와 WCED(세계환경개발위원회)가 공동으로 채택한 ‘우리 공동의 미래(Our Common Future)’(일명 브룬트란트 보고서) 에서 제시되었다. 보고서에서는 인 류가 빈곤과 인구증가,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 환경 파괴등의 위기에서 경제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지속가능발전으로 패러다임 전환이 필 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1989) 미국 알래스카에서 엑슨 발데즈호의 원유 유출사고 발생을 계기로 미 환경단체(Ceres)가 기업의 환경, 사회영향을 파악,공개,관리,개선하여야 한다는 원칙 발표 (1992) UNEP 리우선언 채택: ESG 환경 영역의 기반인 기후변화 협약, 생물다양성 협약,사막화방지협약 (1997) 교토의정서 (1999) 미국, 부패방지라운드 등 윤리 관련 법률 활성화 (2000) UN Global Compa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집중적 산업화와 높은 인구밀도가 급속한 도시화에 영향을 끼쳤다. 인구의 높은 집중도는 자치 광역시 등과 같은 대도시 형성으로 이어졌다. 대한민국에는 인구 100만명 이상의 도시가 11곳이나 있다. 최대 도시는 수도 서울(인구 970만명)이다. 국가 인구의 절반이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다. 부산·인천·대구 등도 100만명 이상이 사는 대도시다. 한국의 대도시는 최신 고층 건물, 고도로 발달한 교통 및 사회 기반 시설, 첨단 통신을 갖춘 선진국 산업 중심지의 전형적 모습이다. (출처:키이우(우크라이나)=정철환 특파원 편집국 유럽 특파원,조선일보)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한국은 인구밀도가 1㎢당 507명이다. 세계적으로도 인구밀도가 매우 높은 나라다. 국토 대부분이 산악 지대로, 평지와 계곡에 인구가 집중된 탓이다. 현대화와 경제 발전의 결과로 인구 통계학적 특징이 급격하게 변화했다. 급격한 이촌향도(離村向都)에 따라 삶의 수준 향상, 물질적 자아 실현이 우선순위가 되었다. 특히 출산 및 양육 비용이 급증하면서, 점점 더 많은 젊은 부부가 아이 낳기를 꺼리고 있다. 출생률이 크게 떨어지는 한편, 의료 수준의 발달로 전체 인구에서 노인이 차지하는 비율은 급격히 높아져 왔다.(출처:키이우(우크라이나)=정철환 특파원 편집국 유럽 특파원,조선일보)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日강제징용’ 유족, 정부안 수용 이어 일본제철 주식 매각신청 취하 허욱 기자, 방극렬 기자 행정안전부 산하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뉴스1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피해 배상 소송에서 대법원의 승소 확정 판결을 받은 피해자의 유족이 일본 기업 주식에 대한 압류 매각 명령 신청을 취하한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의 일제 강제징용 문제의 해법으로 제시한 ‘제3자 변제’ 방안을 유족이 수용한데 이어 그동안 이어온 사법절차 취하에 나선 것이다..(출처:조선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