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기획특집] 해썹 인증, 신뢰 잃은 식품안전 제도…제도 개편 시급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기획특집] 해썹 인증, 신뢰 잃은 식품안전 제도…제도 개편 시급


형식적 인증·사후관리 부실 지적…중소업체 맞춤 지원과 디지털 관리 도입 필요
식품안전을 위한 핵심 제도로 꼽히는 해썹(HACCP·식품안전관리인증)이 최근 실효성 논란에 직면하고 있다. 인증을 받은 업체에서 식중독 사고나 위생 불량 문제가 반복되면서 소비자 신뢰가 크게 흔들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현재의 제도가 형식적으로 운영되면서, 본래 목적이 퇴색되고 있다고 지적한다.
HACCP은 식품의 제조·유통 과정에서 위해 요소를 사전에 분석하고 이를 통제함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하는 제도다. 그러나 일선 현장에서는 인증만 받으면 끝이라는 인식이 퍼져 있다. 일시적인 시설 정비와 기록 준비로 평가 당일만 통과하려는 ‘보여주기식 운영’이 만연한 실정이다.
실제로 인증 이후 위반 사례도 적지 않다. 일부 업체는 인증을 유지하면서도 지속적인 위생 문제로 적발되고 있으며, 일관되지 않은 점검 기준과 인력 부족으로 인해 사후관리도 허술하다는 비판이 잇따른다.
문제는 이뿐만이 아니다. 현재 국내에는 HACCP 외에도 GMP(우수제조관리기준), 음식점 위생등급제, 모범업소 지정 등 다양한 인증제도가 병행되고 있다. 이로 인해 업계는 인증 준비의 중복 부담에 시달리고 있으며, 소비자들 역시 인증의 의미와 효력을 구분하기 어려워 혼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HACCP을 중심으로 식품 관련 인증제도를 통합하고, 사후관리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제언한다. 단기적으로는 불시 점검과 정기 평가를 확대해 위생관리 실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투명하게 공개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평가 기준과 절차 또한 현장에 맞게 표준화돼야 실효성을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영세한 중소 식품업체에 대한 지원 확대가 중요하다는 목소리도 크다. HACCP의 필요성은 인식하면서도, 자금·인력 등의 부족으로 인증을 유지하기 어려운 소규모 사업자들이 많기 때문이다. 맞춤형 위생교육과 기술 컨설팅, 재정적 지원이 병행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소비자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인증 마크의 신뢰성을 높이고, 부적합 업체에 대한 정보 공개도 확대해야 한다. 아울러 인증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디지털 인증 시스템을 도입해 인증의 위·변조를 막고, 소비자의 알 권리를 보장하는 방안도 필요하다.
해썹 인증이 단순한 제도적 절차에 그치지 않고, 국민의 식탁을 실질적으로 지키는 안전망이 되기 위해서는 제도 운영 전반에 걸친 근본적인 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