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허가 제도가 중소기업, 소상공인 다 죽이고 일자리를 없앤다. 먹고 살려고 하는 일 마다, 각종 인증, 허가, 등록, 신고해야 한다. 정말 죽을 노릇이다. 영업허가, 영업등록, 영업신고, 안전, 환경, 보건, 품질, 에너지, 신기술/NeT, 신제품/NeP, 소프트웨어, 서비스/디자인, 단체인증, 조달청등록인증, 이노비즈, 벤처, SQ, KC, 해썹(HACCP), 우수건강기능식품(GMP), GAP, 친환경/유기, 할랄, 비건, 코셔, ISO, FSSC, IATF, 클린사업장, 사회적기업, 유망중소기업 등등 수많은 강제, 법정, 민간, 임의 인증제도 들을 없애거나 최소화하고 선택은 기업이 하도록 하여야 한다. 거기다 원료수불부, 생산일지, 판매대장작성, 품목제조보고, 자가품질검사, 유효성평가실험, 건강진단, 위생교육, 실적보고, 자체평가, 영업자 준수사항 등등 쓸데없는 일 하다 세월 다 간다. 일만 열심히 하면 마음 놓고 사업할 수 있어야 한다. 먹고 사는 문제가 해결되어야 건강하며 문화생활을 즐기며 행복하게 봉사하며 오래 살 수 있다. 정부/지자체가 규제/간섭하지 말아야 한다.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3. GMP제조기준/작업장은 법 제4조, 업종별시설기준 외에 다음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1) 청정구역과 일반구역은 분리되어야 한다, 2) 청정구역은 공조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3) 바닥은 콘크리트 등으로 내수 처리하여야 하며 파여 있거나 물이 고이지 않아야 한다. 4) 배수로는 폐수가 역류하거나 퇴적물이 쌓이지 않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5) 내벽 및 천정은 표면이 매끄럽고 내수처리가 되어 있어 청소가 쉬워야 한다. 6) 채광 또는 조명은 220럭스 이상(육안확인 필요 및 검사구역 작업장 등은 540럭스 이상) (이하 생략)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3. FSSC 22000 도입배경 1) 기존 식품안전 시스템의 문제점 o HACCP은 현장중심의 Risk 관리 위주로 위해 요소 관리에 한정 → 경영시스템 기능 취약 o 성과관리 및 지속적인 개선 프로그램에 대한 시스템적 접근의 한계 2) 국제 통용 규격의 필요성 o 국가 간 교역이 증대됨에 따라 식품안전 규격 통합의 필요성 대두 3) 식품공급사슬 관리의 필요성 및 적용 범위의 확대 o 식품안전 확보 및 식품 위해 요소의 사전예방 관리를 위해 공급사슬 전반에 대한 관리 필요 (ex. 원료, 포장, 장비, 유통, 위생서비스, 약품 등) 4) 소비자 의식 수준 향상 o 안전성, 품질의 일관성, 가격에 대한 가치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2. BRC 글로벌 표준(다양성) - BRC 식품 안전 및 품질 관리 시스템 - BRC 포장 안전 및 품질 관리 시스템 - BRC 보관 및 유통 품질 관리 시스템 - BRC 에이전트 및 브로커 제품 안전 관리 시스템 2) 고객의 요구 사항 충족 - BRC인증을 통해 고객에게 식품 안전 및 공급망 관리에 대한 확신을 심어 줄 수 있음 3) 수익 증대 - BRC인증을 통해 식품 안전성을 개선하고 고객의 요구 사항을 충족함으로써 수익 증대 4) 식품 안전성 향상 - 안전한 식품 생산에 필요한 기본적인 환경 및 운영 조건 준수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1. 식품위생법에 따른 HACCP개요 o o 총리령으로 정하는 식품을 제조ㆍ가공ㆍ조리ㆍ소분ㆍ유통하는 영업자는 식품안전관리인증 기준을 지켜야 한다. o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식품별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 적용업소로 인증할 수 있다.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1.개요 건강기능식품의 안정성과 유효성을 품질면에서 보증하는 기본조건으로서의 우수건강기능식품 제조·관리의 기준, 즉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를 말합니다. 품질이 고도화된 우수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여러 요건을 구체화한 것으로 원료의 입고에서부터 출고에 이르기까지 품질관리의 전반에 지켜야 할 규범이다. 현대화·자동화된 제조시설과 엄격한 공정관리로 식품·건강기능식품 제조공정상 발생할 수 있는 인위적인 착오를 없애고 오염을 최소화함으로써 안정성이 높은 고품질의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 데 목적이 있다. 2. 법적 근거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1. 개요 o 표준명칭 : 식품안전경영시스템 - 식품공급사슬 상의 모든 조직에 대한 요구사항 (Food Safety System Certification) o FSSC 22000 = ISO 22000 + 선행 요구사항 (PRPs) + FSSC 추가 요구사항 o 다국적 식품제조사 , 유통업체가 만든 단체규격 (네슬레, 코카콜라, 코스트코 등) o 업종별 RPPs에 대한 기술적 사항을 고려한 규격 (식품제조, 포장, 유통, 사료 등) o 국제소비자 포럼 산하 GFSI가 인정한 규격 (GFSI는 ISO 22000과 PAS 220 단독규격은 미승인) 2. FSSC 22000 구성요소 : ISO 22000 + PRPs + FSSC요구사항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1. 개요 o BRC: 식품 안전을 위한 글로벌 표준 o BRC 표준은 1998년 영국 소매 컨소시엄(BRC) 에서 소매업체가 법적 식품 안전 의무 를 준수하고, 최고 수준의 소비자 보호를 보장 하도록 지원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o BRC 식품 안전 표준은 영국에서 시작되었지만 현재는 GFSI(Global Food Safety Initiative)에서 인정되어 HACPP, 위생, 식품 안전 및 품질 시스템에서 국제적인 역량 수준을 입증할 수 있으며,BRC 인증을 성공적으로 받으면 주요 식품 시장에 진출하기에 용이합니다.
신주 2024년 3월 29일 /PRNewswire=연합뉴스/ -- ICP DAS-BMP가 권위 있는 MD&M West Show에서 고품질 의료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으로 큰 주목을 받으며 미국과 일본 최고 제조업체들의 주문을 받았다. 동시에 회사의 일부 TPU 제품은 90일 이식 후 국소 효과에 대한 ISO10993-6 테스트를 통과하면서 30일 이상 사용하는 체내 삽입형 의료 기기에 적합한 소재임을 입증했다. ICP DAS-BMP는 아시아 최초의 의료용 TPU 공급업체이며 Alithane™(ALP 시리즈), Durathane™(ALC 시리즈), Arothane™(ARP 시리즈) 등 세 가지 주요 제품을 생산한다. 뛰어난 생체 안정성으로 유명한 Durathane™(ARC 시리즈)도 새롭게 출시할 예정이다. 모든 TPU 시리즈는 다양한 경도 수준, 색상, 방사선 비투과 필러(텅스텐/황산바륨)의 농도로 제공된다. 이러한 소재는 심혈관, 비뇨기과, 위장관 기기뿐만 아니라 의료 및 전자 의료 소모품 제조에 널리 활용된다. ICP DAS-BMP의 Arothane™ ARP-B20(20% 황산바륨)과 Durathane™ ALC-B40(40% 황산바륨)은 I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햄 이어 순대까지, 신세계푸드는 대안육 '올인'과 더불어 해썹인증도 받아야 한다 "전기차와 전자담배에 대해 시장 초기에는 기존 업체들이 불편을 느꼈지만 결국 따라왔습니다. 대안식품도 네슬레, CJ, 유니레버 등 메이저 식품 회사들이 쏟아져 들어올 것입니다." 지난 4일 서울 종로구 순대실록 대학로본점에서 열린 신세계푸드 대안식품 개발 방향 설명회 '베러클래스(Better Class)'에서 송현석 신세계푸드 대표가 대안식품 시장의 성장세를 확신했다. 전 세계 단백질 시장에서 약 90%인 동물성 단백질 비중이 2030년에 72%로 낮아지는 대신 식물성 단백질과 배양육은 각각 18%, 10%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됐다. 신세계푸드는 이날 자체 연구를 통해 개발한 귀리, 쌀 등 식물성 소재를 활용해 만든 식물성 우유와 라테, 식물성 치즈 플래터, 대안육 등을 선보였다. 오래동안 인증, 등록, 허가 및 신고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미래인증교육컨설팅 대표이사 유영준 박사(경영학/행정학/이학/철학/한의학박사, 식약처 HACCP전문강사,ISO/FSSC 인증심사원,식품기술사, 010-5216-2577,miraemkc@naver.com)에 따르면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팡' 터진 샴페인, 화이트와인 제쳤지만 주류에 대한 해썹인증도 필요하다 샴페인은 "과거에는 특별한 날을 기념하는 술이라는 인식이 강했다면 최근에는 달콤한 저도주로 생각하고 즐기는 사람들이 많아졌다고 한다. 팬데믹 시기 '홈술' 문화에 올라타며 인기를 누리던 와인이 한풀 꺾이고 위스키도 주춤하는 와중에 샴페인을 포함한 스파클링와인은 나 홀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젊은 층을 중심으로 달콤한 저도주를 즐기는 분위기가 형성된 데다 엔데믹에 모임이 늘면서 샴페인의 '인스타그래머블(Instagramable·인스타그램에 올리기 좋은)'하다는 점이 인기를 끌고 있기 때문이다. 편의점 업계는 이 같은 트렌드를 반영해 샴페인 구독권도 출시하기 시작했다. 백화점과 대형마트, 주류 판매 채널의 한 축으로 자리 잡은 편의점에서도 샴페인 구색을 확대하는 추세다. 가장 '핫'한 브랜드만 입점할 수 있다는 백화점 팝업스토어에서도 샴페인이 등장했다. 신세계백화점은 지난해 말을 맞아 샴페인 최초 국제축구연맹(FIFA) 공식 샴페인으로 인증받은 '떼땅져'의 팝업스토어를 국내에서 처음으로 선보인 바 있다. 오래동안 인증, 등록, 허가 및 신고 분야에서 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