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허가 제도가 중소기업, 소상공인 다 죽이고 일자리를 없앤다. 먹고 살려고 하는 일 마다, 각종 인증, 허가, 등록, 신고해야 한다. 정말 죽을 노릇이다. 영업허가, 영업등록, 영업신고, 안전, 환경, 보건, 품질, 에너지, 신기술/NeT, 신제품/NeP, 소프트웨어, 서비스/디자인, 단체인증, 조달청등록인증, 이노비즈, 벤처, SQ, KC, 해썹(HACCP), 우수건강기능식품(GMP), GAP, 친환경/유기, 할랄, 비건, 코셔, ISO, FSSC, IATF, 클린사업장, 사회적기업, 유망중소기업 등등 수많은 강제, 법정, 민간, 임의 인증제도 들을 없애거나 최소화하고 선택은 기업이 하도록 하여야 한다. 거기다 원료수불부, 생산일지, 판매대장작성, 품목제조보고, 자가품질검사, 유효성평가실험, 건강진단, 위생교육, 실적보고, 자체평가, 영업자 준수사항 등등 쓸데없는 일 하다 세월 다 간다. 일만 열심히 하면 마음 놓고 사업할 수 있어야 한다. 먹고 사는 문제가 해결되어야 건강하며 문화생활을 즐기며 행복하게 봉사하며 오래 살 수 있다. 정부/지자체가 규제/간섭하지 말아야 한다.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할랄 관련 산업은 제품 외에 서비스 까지 다양하다. 제품은 식품, 화장품, 의약품, 개인용품(바디 샴푸 및 비누), 가죽제품, 패션 등이며, 서비스는 식당, 호텔, 케이터링(주문 음식 공급), 관광, 운송, 이슬람금융, 연구개발(R&D)등이 있다. 제품별로 차지하는 시장규모는 식품(62%), 의약품(22%), 화장품(10%), 건강보조식품(6%)이다. 한마디로 말해서 할랄은 “무슬림들의 삶의 방식(Life Style)“을 말한다. 즉, 할랄 개념이 이슬람 윤리 및 라이프스타일에 기반을 둔 경제 활동 영역 전체로 확산되고 있다. 2009년 기준 전 세계 할랄식품 시장 규모는 약 6500억 달러이었으며. 2013년 기준으로 세계 할랄식품 시장은 전 세계 식품시장의 약 17.7%에 이르는 1,421조원에 달하고 있으며, 그 증가 속도도 매우 빠르다. 2019년에는 현재의 두 배에 이르러 전 세계 식품시장의 21.2%에 이르러 2,720조원에 다다를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또한 무슬림 국가들은 높은 경제 성장률을 보이고 있는데, 2013년부터 2018년 까지 5년간 연평균 GDP 증가율은 6.3%로 글로벌 GDP 증가율 5.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제1장 이슬람세계와 할랄인증제도 이 책자를 만들면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주요국 할랄 인증 안내서」농림축산식품부, 농림수산식품기술평가원, 농산물유통공사의 할랄 관련 자료들, 한국할랄산업연구회의「할랄경제학」,「할랄컨설턴트 양성교육」,「화장품업체를 위한 할랄시장 및 할랄 인증 심화교육」,「International Seminar on Halal Cosmetics」,황중서의「할랄인증,황금열쇠인가?」,한국할랄인증원의 교육자료 및 신청서류 등을 참고하였다. 더 자세한 내용은 이들 문헌을 참고하기 바란다 제1절 이슬람 세계와 할랄 중동 지역에 사는 민족은 아랍인, 터키인, 히브리인(유대인) 및 페르시아인 등이다. 아랍(Arab)은 언어 문화적 개념이지 혈통적 개념은 아니다. 이슬람은 세계 2위 종교이다. 2012년 The Pew Research Forum 보고서에 따르면, 2010년 세계 인구가 69억 명인데 비해 무슬림 인구는 16억 명이나 되었다. 이슬람 회의 기구(OIC:Organization of the Islamic Conference)는 1969년 설립되었는데, 회원은 57개국 이슬람 국가들이다. 이슬람의 관점에서 보면, 먹는 것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FDA 식품시설 등록 가이드 FDA는 식품시설등록을 하고 있다 2018년 5월 25일 중소업체 대상 식품시설등록 안내서 개정본 발표되었다 1. 식품시설 등록에 관한 규정 1) 미국에서 소비되는 식품 혹은 사료를 제조,가공,포장,보관하는 국내 및 해 외시설은 반드시 FDA 등록이 필요함 2) 해당 시설은 미국에 유통하기 위한 식품을 제조,가공,포장,보관 전에 반드 시 등록을 마쳐야 함 3) 규제 대상식품은 반드시 등록하여야 함 ① 건강보조식품 및 건강보조식품 재료, ② 영아용 조제 분유, ③ 음료(알코올 음료 및 병물 포함), ④ 과일 및 채소, ⑤생선 및 해산물, ⑥ 유제품 및 달걀, ⑦ 식품이나 식품의 일부 성분으로 사용하기 위한 가공되지 않은 농산물, ⑧ 통조림 식품 및 냉동식품, ⑨ 베이커리제품, ⑩ 스낵 및 캔디(껌), ⑪ 살아 있는 식용동물,사료 4) 예외 조항 ① 메기목 생선(예, Catfish,tra,swai,basa은 USDA(미국농무부)소관임 ② 식품접촉물질(Food Contact Substance),살충제 농약은 규제 식품 아님 2, 등록 절차 o FDA 식품시설등록은 온라인으로 신청 가능하며 검증 과정을 거
미래인증건강신문 기자 | 아시아마스터트레이드의 글로벌 K-뷰티 브랜드 엑시스와이(AXIS-Y)는 글로벌 인플루언서들과 함께 제주도에서 'EcoGlow 5.5 커뮤니티 캠페인'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AXIS-Y가 2019년 론칭 이후 매년 지속 가능한 뷰티와 환경 보호를 주제로 캠페인을 진행해 온 가운데 제주도에서 열린 이번 'EcoGlow 5.5 커뮤니티 캠페인'은 비건 뷰티 브랜드로서의 입지를 더욱 확고히 하는 중요한 이정표가 됐다. AXIS-Y는 비건 뷰티와 환경 보호를 핵심 가치로 삼아 매년 글로벌 캠페인을 통해 지속 가능한 라이프스타일을 제시해왔다. 이번 캠페인은 제주도의 자연을 배경으로 K-뷰티의 핵심 가치를 자연과 환경 보호와 조화롭게 결합한 특별한 행사로 진행됐다. 캠페인에는 Jooshica, Edward Zo, Hanna, Lisa Rosh 등 전 세계적으로 영향력 있는 10명의 글로벌 인플루언서들이 참여했다. 이들은 수백만 명의 팔로워를 보유한 K-뷰티 아이콘으로, 제주도의 청정 자연 속에서 AXIS-Y의 비건 뷰티 제품과 환경 친화적인 라이프스타일을 직접 체험하면서 이를 전 세계 팬들에게 소개했다. 제주도는 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한 발전을
미래인증건강신문 기자 | 최근 미국 다음으로 큰 규모를 자랑하는 유럽 화장품 시장에서 한국 화장품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로인해 유럽진출을 염두에 두고 있는 한국 화장품 기업들도 늘어나고 있다. 화장품 제조사들의 유럽 시장 진출을 위한 핵심 관문인 CPNP(Cosmetic Product Notification Portal)의 패스트트랙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드엑스포코리아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애드엑스포코리아는 유럽 현지 파트너사를 통해 CPNP 등록 프로세스를 간소화하고 빠르게 진행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화장품 제조사들의 빠른 시장진입을 지원하고 있다. CPNP는 유럽 연합 내에서 화장품의 안전성을 보장하고, 소비자 보호를 위한 중요한 규제 요소로, 제품의 구성 성분, 안전성 평가 등의 정보를 규제 기관에 제출해야 한다. 이 과정은 수출 초보 기업들이 직접 진행하기에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경우가 많지만, 애드엑스포코리아의 패스트트랙 서비스를 통해 이 과정을 더욱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애드엑스포코리아는 2009년 설립되어 15년간의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CPNP 등록을 위한 필수 문서 작성, 신속한 정보 제출, 규제 요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1. 스마트HACCP 확대 개선방안(안) - HACCP 업체와 가장 접점에 있는 교육기관, 사후관리 담당자 대상 스마트HACCP의 정확한 이해/전달 및 교육 의무화 2. 스마트HACCP 홍보와 경제적 지원(안) - 스마트HACCP 경진대회 등 이벤트 추진, 업체 지원 예산 확보 3. 스마트HACCP 가점 확대적용(안) - 현행+전체 CCP 대비 60% 이상: 일반 3점, 소규모 2점 (*현행 스마트HACCP 적용한 경우만 일반 6점, 소규모 3점) 4. 학교/군납 스마트HACCP 인증업체 우선 선정 및 납품할 수 있도록 업무 추진 대형 유통업체 스마트HACCP 인증업체 입점 확산 협조 요청 식품안전관리인증원에서는 스마트HACCP 확산을 기본 전제로 소규모 사업장은 기록관리, 중소사업장은 스마트HACCP, 중견기업&대기업은 MES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HACCP 확산을 기본 모델로 확산한다는 방침입니다.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인천시 남동구는 최근 박종효 구청장이 고잔동에 위치한 '(주)서울화장품'을 방문해 기업과 소통하는 자리를 가졌다고 19일 전했다. 박 구청장은 이번 방문에서 기업의 생산 현장의 목소리를 경청하고, 기업지원 방안 논의 및 일자리 협약을 추진했다. 또한, 결혼이주여성으로 구성된 '남동구 글로벌 명예 소셜기자단'과 온라인크리에이터 교육생, 남동구가족센터 관계자들이 함께 참여해 상품홍보와 향후 활동에 대한 지원방안을 논의했다. 1982년에 설립된 ㈜서울화장품(대표이사 한광석, 한정수)은 화장품 연구개발 및 제조생산 전문기업으로, 2022~2023년 2년 연속 연 매출 1,000억 원을 돌파한 강소기업이다. 현재 매년 500여 개의 신제품 개발 및 연 2,500여 개 품목을 생산하고 있으며, 그 기술력을 바탕으로 21개국 60여 개 업체에 수출 계약을 체결하는 등 지속적인 성장 가도를 달리고 있다. 또한 탈북학생 장학사업을 통해 탈북자들의 자립을 위한 일자리 마련 등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있는 남동산단 대표 모범기업이다. 박종효 구청장은 "(주)서울화장품을 통해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도 기업혁신을 통해 매출 증가뿐만 아니라 기업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1) 1단계 심사 o 심사 목적 : 조직의 준비 상태를 심사 o FSSC 22000-Food Ver3.2 : 2015 시스템 문서 - 조직도, 인증범위, HA분석, CCP 결정, HACCP plan, FSSC 관련법규, FSSC 방침, 목표, 담당별 KPI 계획/실적, 개인 위생관리, FSSC 자격기준, FSSC 문서화(M,P,I), PRPs 프로 그램, FSSC 추가 요구사항 등 o 1단계 부적합은 2단계 심사 전에 시정조치가 완료 되어야 한다. 2) 2단계 심사 o 심사 목적 : 식품안전경영시스템의 실행 및 효과성의 평가 심사 o 부적합 사항은 30일 이내에 시정조치 완료 되어야 인증기관에 인증 추천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1) 고객 Needs와 국제규격 요구사항을 충족하여 경쟁력 제고 2) 국제 환경변화에 능동적 대비로 수출 경쟁력 제고 3) 대·내외 이미지 향상 및 홍보효과로 소비자 신뢰 확보 4) 프로세스 재정립을 통한 업무 효율성, 경영 능력 제고와 식품 안정성을 사전에 과학으로 확보, 품질 실패 예방과 경제 이익 5) 안전한 생산, 제조, 유통으로 이해관계자에게 안전한 식품 확보 및 선택 기회를 제공함으로서 효과적인 공급자 관리 6) 식품 공급사슬 전체에서 투명성 확보와 잠재적 위해요소 파악 7)식품 공급사슬 각 프로세스의 산출물에 각각 요구사항을 의사소통 8) 식품 안전 및 성과의 지속적 개선으로 시너지 극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