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허가 제도가 중소기업, 소상공인 다 죽이고 일자리를 없앤다. 먹고 살려고 하는 일 마다, 각종 인증, 허가, 등록, 신고해야 한다. 정말 죽을 노릇이다. 영업허가, 영업등록, 영업신고, 안전, 환경, 보건, 품질, 에너지, 신기술/NeT, 신제품/NeP, 소프트웨어, 서비스/디자인, 단체인증, 조달청등록인증, 이노비즈, 벤처, SQ, KC, 해썹(HACCP), 우수건강기능식품(GMP), GAP, 친환경/유기, 할랄, 비건, 코셔, ISO, FSSC, IATF, 클린사업장, 사회적기업, 유망중소기업 등등 수많은 강제, 법정, 민간, 임의 인증제도 들을 없애거나 최소화하고 선택은 기업이 하도록 하여야 한다. 거기다 원료수불부, 생산일지, 판매대장작성, 품목제조보고, 자가품질검사, 유효성평가실험, 건강진단, 위생교육, 실적보고, 자체평가, 영업자 준수사항 등등 쓸데없는 일 하다 세월 다 간다. 일만 열심히 하면 마음 놓고 사업할 수 있어야 한다. 먹고 사는 문제가 해결되어야 건강하며 문화생활을 즐기며 행복하게 봉사하며 오래 살 수 있다. 정부/지자체가 규제/간섭하지 말아야 한다.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중소벤처기업부 공고 제2023–78호 2023년도 건강기능식품 개발 지원사업 시행계획 공고(6) 3 신청 및 접수방법 □ 공고 및 신청·접수기간 ◦ 공고기간 : 2023. 1. 31(화) ~ 2023. 3. 2(목) ◦ 신청·접수기간 : 2023. 2. 13(월) ~ 2023. 3. 2(목) 18:00까지 * 2단계 R&D 신청·접수는 1단계 과제기획 수행 기업만 신청 가능하며 접수기간은 별도 안내 예정 □ 신청 및 접수방법 : 범부처 통합연구지원시스템(IRIS)을 통해 신청・접수 ☞ 신청방법 : www.iris.go.kr → 회원가입 → 로그인 → R&D업무포털 → 과제접수 → 사업세부 공고 목록 → 해당 정부부처(중소벤처기업부), 전문기관(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 원) 검색 → 2023년 건강기능식품 개발 지원사업(R&D) 시행계획 공고 → 접수 → 온라 인 내용입력 및 연구개발계획서 등 구비서류 등록 ☞ 과제접수 매뉴얼 참조 : www.iris.go.kr → 로그인 → 업무포탈서비스 → R&D고객센터 → IRIS사용매뉴얼 → [IRIS R&D 통합업무포털_연구자용] 접수 매뉴얼 다운로드 ☞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식품의약품안전처 공고 제 2023-009호 「의료기기 산업 육성 및 혁신의료기기 지원법」 제21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15조에 따라 혁신의료기기로 지정되어 아래와 같이 공고합니다. <혁신의료기기 지정 공고 내용> 업체명:㈜스카이랩스 군종류:첨단기술군 지정번호:일반 제28호 지정일자:‘23.1.9 품목명(제품명, 모델명):혈압 검사 또는 맥파 검사용 기기 (조합의료기기 : 홀터심전계, 맥파계, 펄스옥시미터) (CART-I Plus, SL-MRA1K06외 7건)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LRQA_Training_Calendar_KR_Jan___Jun_2023_230113_K (1)|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2023 Global Medical Equipment Plaza 열린다 3월 23일 부터 24일 까지, CODEX 전관에서 KOTRA
- 심뇌혈관질환 발생률 제로를 목표 삼아 - - 2023년 초, 영국에 도입될 원격 환자 모니터링 관련 신규 서비스인 'Viso' 출시 예정 - AsiaNet 99391 (교토, 일본 2023년 1월 12일 AsiaNet=연합뉴스) 오므론 헬스케어(OMRON Healthcare Co., Ltd., 이하 '회사')가 세계 최대 규모의 국제전자제품박람회(Consumer Electronic Show, CES 2023)에서 영국에 도입될 예정인 원격 환자 모니터링 관련 신규 서비스를 선보인다. 이를 통해, 회사는 심장 마비와 뇌졸중 등 심뇌혈관질환의 발생을 방지하는 'Going for Zero' 비전을 실현하고자 한다. 심방세동(AFib)은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질환으로, 부정맥의 일종이기도 하다. AFib에 주목해온 오므론은 이달 5일부터 8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23에 참가해 AFib의 조기 발견을 위해 추진한 회사의 다양한 노력을 소개한다. 로고: https://kyodonewsprwire.jp/img/202212271734-O2-jtQRl17o 부스 전시회 관련 세부 사항은 다음과 같다. CES 2023의 주제 1. 혈압 모니터링과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정읍시가 추진하는 '농축산용 미생물 산업 공유인프라 구축사업'이 이달 2023년도 최종 국가사업으로 선정돼 국비 100억원, 지방비 100억원을 확보했다. 이는 윤준병 국회의원과 이학수 시장을 비롯한 정치권과 행정이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공조해온 결실로 평가된다. 이에 따라 시는 미생물 분야 GMP(우수 제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기반 공공인프라를 구축, 농축산용 미생물 제품 생산시설이 없어 수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40여 개의 미생물 분야 기업체들에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시는 내년부터 2024년까지 3년간 총 200억 원을 투입해 첨단과학산업단지 내 연면적 7천500㎡ 규모에 공장형 개별 입주 공간을 구축한다. 이곳에는 입주 공간 40실(165㎡)과 미생물 기업들의 공동 활용 장비와 물류를 보관하는 창고 등이 들어선다. 이학수 시장은 "입주 공간과 공용 장비 등 미생물 산업 공유인프라를 구축해서 미생물 산업 시설을 집적적화 해 정읍을 우리나라 미생물 산업 발전의 중심으로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정읍시는 2017년 개소한 농축산용 미생물 산업육성지원센터(이하 미생물 산업육성지원센터)를 중심으로 미생물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관계부처 합동) 해외인증 지원체계 구축 등 부처협업 본격 가동 등록일 : 2022-12-29 조회수 : 522 담당자 : 박광훈 담당부서 : 보건산업진흥과 해외인증 지원체계 구축 등 부처협업 본격 가동 - 산업부‧복지부 합동 바이오산업 수출지원회의 개최 - □ 12.29(목)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이창양)와 보건복지부(장관:조규홍)는 공동으로 산업기술시험원(서울) 6층 회의실에서 바이오산업 수출지원회의를 개최하였다. ㅇ 금일 회의는 지난 11.23일 대통령 주재로 개최한 제1차 수출전략회의의 후속조치이자, 12.27일 산업부 업무보고에서도 밝힌 “범정부 역량 결집을 통한 수출 플러스 달성”을 위한 첫걸음으로 마련되었으며, ㅇ 의약품‧의료기기 등 바이오산업을 새로운 수출성장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해, 산업부-복지부 합동으로 업계, 수출지원기관, 인증기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현장애로를 청취하고 경쟁력 제고방안을 논의하였다. < 산업부-복지부 합동 바이오산업 수출지원회의 개요 > □ 일시/장소 : ‘22.12.29(목) 16:00~ / 산업기술시험원(서울) 6층 국제회의실 □ 참석 대상 : (정부) 산업부 1차관, 무역정책관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화장품의 영업등록 제3조(영업의 등록) ① 화장품제조업 또는 화장품책임판매업을 하려는 자는 각각 총리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식품의약품안전처장에게 등록하여야 한다. 등록한 사항 중 총리령으로 정하는 중요한 사항을 변경할 때에도 또한 같다. <개정 2013. 3. 23., 2016. 2. 3., 2018. 3. 13.> ② 제1항에 따라 화장품제조업을 등록하려는 자는 총리령으로 정하는 시설기준을 갖추어야 한다. 다만, 화장품의 일부 공정만을 제조하는 등 총리령으로 정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때에는 시설의 일부를 갖추지 아니할 수 있다. <개정 2013. 3. 23., 2018. 3. 13.> ③ 제1항에 따라 화장품책임판매업을 등록하려는 자는 총리령으로 정하는 화장품의 품질관리 및 책임판매 후 안전관리에 관한 기준을 갖추어야 하며, 이를 관리할 수 있는 관리자(이하 “책임판매관리자”라 한다)를 두어야 한다. <개정 2013. 3. 23., 2018. 3. 13.> ④ 제1항부터 제3항까지의 규정에 따른 등록 절차 및 책임판매관리자의 자격기준과 직무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총리령으로 정한다. <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온라인 플랫폼 '트레이드 온' 수출 기업 상품 홍보 기회 마련하는 등 SBS(서울산업진흥원:대표 김현우)가 중소기업의 해외 판로 개척지원에 적극 나서고 있다 1000건, 상담, 7,600만 달러 계약 18개국 참여 뷰티트레이드 쇼 계약 추진액 2,000만불 달성했다
미래인증건강신문 관리자 기자 | “화장품”이란 인체를 청결ㆍ미화하여 매력을 더하고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피부ㆍ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하기 위하여 인체에 바르고 문지르거나 뿌리는 등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사용되는 물품으로서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한 것을 말한다. 화장품에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다 “기능성화장품”이란 화장품 중에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총리령으로 정하는 화장품을 말한다. 가. 피부의 미백에 도움을 주는 제품 나. 피부의 주름개선에 도움을 주는 제품 다. 피부를 곱게 태워주거나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제품 라. 모발의 색상 변화ㆍ제거 또는 영양공급에 도움을 주는 제품 마. 피부나 모발의 기능 약화로 인한 건조함, 갈라짐, 빠짐, 각질화 등을 방지하거나 개선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제품 “천연화장품”이란 동식물 및 그 유래 원료 등을 함유한 화장품으로서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정하는 기준에 맞는 화장품을 말한다. “유기농화장품”이란 유기농 원료, 동식물 및 그 유래 원료 등을 함유한 화장품으로서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정하는 기준에 맞는 화장품을 말한다. “맞춤형화장품”이란 제조 또는 수입된 화장품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