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7 (목)

  • 흐림동두천 20.5℃
  • 구름조금강릉 19.1℃
  • 흐림서울 21.4℃
  • 구름많음대전 26.5℃
  • 맑음대구 21.6℃
  • 구름조금울산 19.8℃
  • 구름조금광주 22.8℃
  • 흐림부산 18.4℃
  • 맑음고창 22.2℃
  • 흐림제주 21.7℃
  • 흐림강화 15.3℃
  • 구름많음보은 25.9℃
  • 구름조금금산 25.8℃
  • 구름조금강진군 20.5℃
  • 맑음경주시 21.5℃
  • 맑음거제 17.8℃
기상청 제공

조선 영의정 류성룡柳成龍(3) 전란이 끝나갈 무렵인 1598년 명나라 경략 정응태가 "조선과 일본이 합세해서 명나라를 치러 온다"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조선 영의정 류성룡柳成龍(3)
전란이 끝나갈 무렵인 1598년 명나라 경략 정응태가 "조선과 일본이 합세해서 명나라를 치러 온다"라고 명나라 조정에 무고한 사건이 있었는데 이를 해명하기 위해 무게감 있는 대신이 가야 한다는 여론이 우세했고 선조 또한 원해서 류성룡에게 이를 해명하러 갔다 오라고 부탁했지만 류성룡은 노모가 있다는 이유로 사양하였다. 그런데 북인이 남인의 영수였던 류성룡을 이 일을 빌미삼아 탄핵을 하였고 결국 삭탈 관직되어 낙향했다. 이후 1600년 복직되었으나 벼슬을 하지 않고 은둔 생활을 하면서 저술에 힘썼는데 쓰여진 저작 중 하나가 바로 《징비록》이다. 자신이 겪은 임진왜란 때 조선의 실태와 참상 및 이를 반성하는 의미에서 저술한 것으로 지금까지도 임진왜란 연구사의 중요한 자료로 꼽히고 있다. 그렇게 조용히 살다가 1604년 은거하던 안동 하회마을이 수해를 입는 바람에 하회마을에서 풍산 서미동으로 옮겨 살았고 1607년 5월 6일 그 곳에서 세상을 떠났다. 류성룡의 문집 《서애집》의 '서애 선생 연보'에는 말년에 "조용히 살다가 자연으로 돌아가고 싶다"며 손님들을 물리치며 살았다고 하며 류성룡이 임종하는 모습이 상세히 적혀 있다.
5월 6일 무진일, 진시(辰時)에 정침(正寢)에서 고종(考終)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