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허가 제도가 중소기업, 소상공인 다 죽이고 일자리를 없앤다. 먹고 살려고 하는 일 마다, 각종 인증, 허가, 등록, 신고해야 한다. 정말 죽을 노릇이다. 영업허가, 영업등록, 영업신고, 안전, 환경, 보건, 품질, 에너지, 신기술/NeT, 신제품/NeP, 소프트웨어, 서비스/디자인, 단체인증, 조달청등록인증, 이노비즈, 벤처, SQ, KC, 해썹(HACCP), 우수건강기능식품(GMP), GAP, 친환경/유기, 할랄, 비건, 코셔, ISO, FSSC, IATF, 클린사업장, 사회적기업, 유망중소기업 등등 수많은 강제, 법정, 민간, 임의 인증제도 들을 없애거나 최소화하고 선택은 기업이 하도록 하여야 한다. 거기다 원료수불부, 생산일지, 판매대장작성, 품목제조보고, 자가품질검사, 유효성평가실험, 건강진단, 위생교육, 실적보고, 자체평가, 영업자 준수사항 등등 쓸데없는 일 하다 세월 다 간다. 일만 열심히 하면 마음 놓고 사업할 수 있어야 한다. 먹고 사는 문제가 해결되어야 건강하며 문화생활을 즐기며 행복하게 봉사하며 오래 살 수 있다. 정부/지자체가 규제/간섭하지 말아야 한다.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ISO와 인증제도(2) 3) 경영시스템 국제 표준의 역사 (1) 경영시스템 국제 표준의 효시 - ISO 9000 ‘품질시스템(quality system)'을 키워드로 하는 경영 관리 방법에 대한 국제표준은 처음이었다. 따라서 경영시스템 국제표준의 효시는 ISO 9000이라고 할 수 있다. (2) 경영시스템 국제표준의 첫 파생 - ISO 14000 당시 ISO 9000 국제표준은 ‘20가지 요구사항을 나열한 구조’이었으나, ISO 14000은 요구사항을 6가지 범주로 구성한 구조’로 되어 있었다. (3) 최초 제정 연도를 기준으로 한 주요 경영시스템 국제표준들. 1987년,ISO 9001,품질(Quality management system) 1996년,ISO 14001,환경(Environamental management system) 2005년,ISO 22000,식품안전(Food safety management system) 2005년,ISO/IEC 27001,정보보호(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2005년,ISO/IEC 20000-1,정보기술 서비스(IT service manageme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ISO와 인증제도(1) 1) 표준화 (1) 의의 : 사물, 개념, 방법 및 절차등의 기준을 정하고, 기준에 맞추는 것 (2) 한국산업 표준의 분류: 제품표준, 방법표준, 전달표준 (3) 표준유형별 구분 ① 국가표준: ANSI, BSI, CNS, DIN, JIS 등 ② 세계표준: IAEA, ICAO, IES, ISO, ITU 등 ③ 기관표준: ASME, ASTM, FDA, EE, UL 등 2) ISO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는 국제표준화기구로 비정부 간 기구로서 설립 목적은 다음과 같다. ① 물자 및 서비스의 국제적 교환의 용이성 ② 지적, 과학적, 기술적 및 경제적 활동 분야에 있어서 국제간의 협력의 조장 ③ 세계적 규격의 심의 제정의 촉진
서울 관악구(구청장 박준희)가 지난 18일 '관악구 아동실태조사 및 아동친화도시 4개년(′23~′26) 조성 전략 수립 연구용역' 최종 보고회를 개최, 아동들이 안전하고 행복한 '아동친화도시' 조성을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번 용역은 유니세프의 향후 정책 방향과 우리구가 지난 6월 실시한 아동실태 및 아동친화도조사 결과, 구민 의견수렴 및 그간 추진한 아동친화사업에 대한 분석을 통해 구 특성을 반영한 아동친화도시 4개년('23~26) 조성 전략 수립을 위해 실시됐다. 보고회에서는 그간의 분석을 토대로 ▲놀이환경 ▲아동참여 ▲아동안전 ▲녹색삶터 ▲아동복지 5개 분야에서 49개의 중점사업을 도출해 냈으며 사업의 정기적 이행 점검을 통해 아동관련 사업의 실효성 확보가 필요함을 제안했다. 또한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구성요소에 따른 아동참여 및 시민의식 향상을 위해 ▲아동친화도시 추진위원회에 아동 위촉 ▲아동친화적인 법체계 마련을 위해 아동친화도시 조례 개정 ▲미취학 및 영유아 의견 수렴 ▲아동참여기구에 속하지 않은 지역사회 아동의 의견수렴 방안 마련 ▲아동권리 교육전후 인식도 조사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것을 제안했다. 구는 최종 보고회에서 논의된 자료를 토대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ISO 14000 / 환경경영 환경적 책임을 관리하기 위해 실용적인 도구가 필요한 모든 유형의 기업 및 조직에는 ISO 14000 제품군이 있다. ISO 및 환경 ISO 14001:2015는 조직이 환경 성과를 향상시키는 데 사용할 수 있는 환경 관리 시스템에 대한 요구 사항을 지정한다. ISO 14001:2015는 지속 가능성의 환경 기둥에 기여하는 체계적인 방식으로 환경적 책임을 관리하려는 조직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ISO 14001:2015는 조직이 환경, 조직 자체 및 이해 관계자에게 가치를 제공하는 환경 관리 시스템의 의도한 결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조직의 환경 정책에 따라 환경 관리 시스템의 의도 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환경 성과 향상; · 준수 의무 이행; · 환경 목표 달성. ISO 14001:2015는 규모, 유형 및 성격에 관계없이 모든 조직에 적용되며 조직이 수명 주기 관점을 고려하여 제어하거나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하는 활동, 제품 및 서비스의 환경적 측면에 적용된다. ISO 14001:2015에는 특정 환경 성과 기준이 명시되어 있지 않다. ISO 14001:2015는 환경 관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세계적 인증교유기관 로이드인증원의 2023 교육계획입니다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ISO 9000/품질 관리 제품 및 서비스의 품질을 개선하고 고객의 기대를 지속적으로 충족하는 방법을 묻는 조직의 경우 ISO가 이에 대한 답변을 제공한다. 품질 관리의 다양한 측면을 다루고 ISO의 가장 잘 알려진 표준 중 일부를 포함하는 ISO 9000 제품군이다. ISO 9001을 선택해야 하는 이유 ISO 9001은 품질 경영 시스템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며 제품군에서 인증 할 수있는 유일한 표준이 (필수 사항은 아님). 활동 분야에 관계없이 크고 작은 모든 조직에서 사용할 수 있다. 실제로 ISO 9001 인증을 받은 170개 이상의 국가에서 백만 개 이상의 기업과 조직이 있다. 이 표준은 강력한 고객 중심, 최고 경영진의 동기 부여 및 의미, 프로세스 접근 방식 및 지속적인 개선을 포함한 여러 품질 관리 원칙을 기반으로 한다. 이러한 원칙은 ISO의 품질 관리 원칙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ISO 9001을 사용하면 고객이 일관되고 우수한 품질의 제품과 서비스를 얻을 수 있으므로 많은 비즈니스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미래인증건강신문 유덕상 기자 | ISO 22000(식품안전경영시스템) □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국제표준화기구)에서 식품공급사슬전반에 걸쳐 식품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2005년부터 도입하였다 ∘ ISO 22000은 HACCP 시스템에 경영시스템 요소를 결합하여 식품안전의 지속적 개선을 추구한다 - 기존의 ISO 9001와 HACCP의 요구사항들을 취합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 ISO 9001은 ISO에서 제정·시행하는 품질경영시스템에 관한 국제규격이다 · HACCP는 식품생산부터 유통까지의 과정에서 위해요인이 혼입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위생관리 시스템이다 □ 식품안전경영시스템, 리더십 및 의사소통, 자원, 일반사항, 식품안전경영시스템의 타당성 확인·검증·개선 등에 대한 규정을 마련한다 ∘ ISO 22000은 ISO 경영시스템 표준의 통상적인 원칙에 근거한다 - 해당 원칙은 고객중심, 리더십, 조직원의 참여, 프로세스 접근 방법, 개선, 증거에 기반을 둔 의사결정 및 관계 관리이다 ∘ 식품안전경영시스템의 4대원칙은 상호의사소통, 시스템 경영, 선행요건 프로그램,위해요인 분석과 HA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세계 5대 표준화기구에 선언한 표준특허 세계3위 특허청(청장 깅용래)는 2020년 까지 우리나라가 3대 국제표준화기구(ISO,IEC,ITU)에 신고한 선언 표준특허가 세게 1 위에 올랐다고 발표했다
서초구의 스마트 행정이 국내를 넘어 국제적으로 우수성을 인정받으며, 세계적인 경쟁력을 지닌 스마트 도시로의 명성을 이어간다. 서울 서초구(구청장 전성수)는 지난 2020년 12월에 '스마트도시 국제표준 인증'은 영국표준협회(BSI)에서 'Smart City 성숙도 5단계 기준'을 통해 스마트시티 사업성, 성숙도 측면에서 세계적인 수준의 도시에 부여한다. 이번 심사기준은 비즈니스 관리, 시민 중심의 서비스 관리, 기술과 디지털 자산 관리, 이익 실현 전략 등 4원칙, 14개 비즈니스관리, 9개 핵심 성공 요인 등을 평가한다. 여기에 22개 항목에서 모두 5레벨 중에 3레벨(성숙) 이상 받으면 영국 산업 규격 합격 표시증(Smart City Kitemark)을 수여받는다. 단, 최초 인증 획득 시점부터 1·2년차 사후 심사를 통과해야 3년간 자격이 유지된다. 이번 사후심사 결과, 구는 BSI 성숙도 모델 기준에 따른 평가에서 지난해 대비 평가 점수가 상승하며 스마트 도시 역량을 높였다. 특히 총 22개 평가항목 중 ▲ 리더십 ▲ 시민중심 통합 서비스 구현 ▲ 스마트데이터에 대한 투자 ▲ 디지털 포용 및 채널 관리 등 11개 항목에서 4레벨(선도)을, 신원 및 개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1)인증명:FSSC 22000 인증 2)세부 내용 ∘ 인증기관: 국제식품안전협회 ∘ ISO 22000 인증의 미비한 점을 보완하여 식품의 품질 및 안전 보장에 관해 인증을 발급함 ∘ 2019년 5월 개정됨에 따라 기존 인증을 취득한 업체는 인증 전환을 진행해야 함 3) 인증 유형 : 시스템 인증 4) 취듣 주쳬 : 한국 생산업체 및 수출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