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6 (수)

  • 구름조금동두천 29.3℃
  • 맑음강릉 28.2℃
  • 구름조금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27.8℃
  • 구름많음대구 28.3℃
  • 구름많음울산 27.3℃
  • 구름많음광주 28.4℃
  • 구름많음부산 26.3℃
  • 구름조금고창 28.3℃
  • 흐림제주 25.0℃
  • 맑음강화 27.4℃
  • 구름조금보은 27.2℃
  • 구름조금금산 27.5℃
  • 구름많음강진군 27.8℃
  • 구름많음경주시 29.6℃
  • 구름많음거제 26.0℃
기상청 제공

역사는 돈이다, 명분과 위선을 걷어내고 읽는 진짜 세계사

인류 역사를 통틀어 종교, 이념, 민족, 지역을 초월했던 유일한 매개체는 오직 ‘돈’뿐이다 유대인과 팔레스타인의 오랜 악연은 무엇에서 비롯됐을까? ‘카노사의 굴욕’과 ‘아비뇽 유수’ 등 황제와 교황을 갈등하게 만든 진짜 원인은 무엇일까? 〈하멜표류기〉는 조선과 일본의 역사를 어떻게 뒤바꿔 놓았을까? 이 모든 역사에는 공통점이 있다. 민족, 종교, 사상 등 거창한 이유가 붙어 있지만 그 뒤에 숨은 진짜 원인은 바로 ‘돈’이었다는 것. 부(富)에 대한 갈망이 인류를 움직였다는 주장에 반대할 사람은 없다.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역사는 돈이다명분과 위선을 걷어내고 읽는 진짜 세계사
저자 강승준
출판 잇콘
발행 2024.05.30.

책 소개

그러나 그 범위는 우리의 생각을 훨씬 뛰어넘을 만큼 폭넓고, 그 중에는 절대 아닐 것 같은 숭고한 사건도 많다. 아직 순진한 인류애를 품은 독자라면 이 책을 읽고 경악하게 될지도 모른다. 대한민국은 거대한 돈의 역사에 희생된 약소국 중 하나였고, 지금도 소용돌이 한 가운데 서 있는 위태로운 국가다. 역사는 반드시 반복된다. 명분과 위선으로 포장된 진짜 의도를 꿰뚫어보지 못하면 미래는 존재할 수 없다. 이 책은 그러한 통찰력을 키우기 위한 오답노트가 되어줄 것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인류 역사를 통틀어 종교, 이념, 민족, 지역을 초월했던
유일한 매개체는 오직 ‘돈’뿐이다

유대인과 팔레스타인의 오랜 악연은 무엇에서 비롯됐을까? ‘카노사의 굴욕’과 ‘아비뇽 유수’ 등 황제와 교황을 갈등하게 만든 진짜 원인은 무엇일까? <하멜표류기>는 조선과 일본의 역사를 어떻게 뒤바꿔 놓았을까? 이 모든 역사에는 공통점이 있다. 민족, 종교, 사상 등 거창한 이유가 붙어 있지만 그 뒤에 숨은 진짜 원인은 바로 ‘돈’이었다는 것.

부(富)에 대한 갈망이 인류를 움직였다는 주장에 반대할 사람은 없다. 그러나 그 범위는 우리의 생각을 훨씬 뛰어넘을 만큼 폭넓고, 그 중에는 절대 아닐 것 같은 숭고한 사건도 많다. 아직 순진한 인류애를 품은 독자라면 이 책을 읽고 경악하게 될지도 모른다.

대한민국은 거대한 돈의 역사에 희생된 약소국 중 하나였고, 지금도 소용돌이 한 가운데 서 있는 위태로운 국가다. 역사는 반드시 반복된다. 명분과 위선으로 포장된 진짜 의도를 꿰뚫어보지 못하면 미래는 존재할 수 없다. 이 책은 그러한 통찰력을 키우기 위한 오답노트가 되어줄 것이다.

목차
[제1장] 세계사를 관통하는 3가지 관점 ‘부富, 화폐, 금융’
- 세상을 움직인 것은 결국 돈이었다 (부의 관점으로 보는 세계사)
- 금화에서 디지털 화폐까지 ‘돈의 전쟁’ (화폐의 관점으로 보는 세계사)
- 환전상이 글로벌 투자은행이 되기까지 (금융의 관점으로 보는 세계사)

[제2장] 고대 편
- 최초의 화폐는 어디에서 탄생했나 (고대 중동 국가들과 금속 주화)
- 장사를 위해 만들어진 발명품, 알파벳 (고대 페니키아인과 무역의 시작)
- 이스라엘 vs 팔레스타인, 오랜 악연의 시작 (유대인 디아스포라의 역사)
- 경제 구조 개혁을 꿈꿨던 혁명가 예수 (기독교의 탄생과 유대-로마 전쟁)
- 고대 그리스는 해적질로 성장했다 (살라미스 해전, 알렉산드로스와 헬레니즘)
- 벤처사업처럼 정복전쟁을 했던 카이사르 (로마의 발전과 제국의 건설)
- 기독교 공인은 재정난 때문에 이뤄졌다 (콘스탄티노폴리스 천도와 서로마의 멸망)

[제3장] 중세 편
- 로마도 아니고 제국도 아니었던 신성로마제국 (교황과 게르만 왕국의 거래)
- 신의 시대, 비즈니스가 되어버린 교회들 (아비뇽 유수와 교회세를 둘러싼 갈등)
- 초기 이슬람과 기독교는 사이가 괜찮았다 (이슬람의 태동과 확산)
- ‘뱅크’의 어원은 환전상에서 유래했다 (금융업의 발전 과정)
- 성전聖戰이냐, 아니면 성전聖錢이냐 (십자군전쟁의 과정과 영향)
- 흑사병 덕분에 생겨난 최초의 중산층 (봉건제와 장원경제의 붕괴)
- 이겼지만 진 프랑스 vs 졌지만 이긴 영국 (해운업의 강자 노르만족과 백년전쟁)
- 메디치의 돈으로 피어난 르네상스 예술 (상업혁명과 인문주의 운동)
- 중세의 끝, 동로마제국의 멸망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과 근세의 시작)

[제4장] 근세 편
- 신의 나라에서 왕의 나라로 (군주 정체와 절대왕권의 등장)
- 인쇄술이 낳은 배다른 형제, 면죄부와 종교개혁 (루터의 종교개혁)
- 서유럽, 돈과 군사 혁신으로 세계를 제패하다 (화약 무기와 용병 시스템)
- 콜럼버스라는 이름의 벤처사업가 (신대륙 발견과 대항해 시대의 개막)
- 후추와 황금을 위해 목숨을 걸었다 (포르투갈의 부흥과 동인도 항로 개척)
- 해가 지지 않는 나라, 무적함대 에스파냐 (카를 5세의 전쟁 사업)
- 전쟁으로 흥한 자 전쟁으로 망하다 (에스파냐의 쇠퇴와 푸거 가문)
- 국왕이 종교에 집착할 때 벌어지는 일 (가톨릭 우선주의와 세금 문제)
- 넘쳐나는 은은 어떻게 에스파냐를 망쳤을까 (유럽의 가격혁명)
- 다양성과 포용주의가 답이다 (오스만제국과 유대인을 수용한 국가들)
- 뉴욕은 원래 네덜란드 땅이었다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의 활약)
- 사실은 체불임금 청구서였던 하멜표류기 (일본과 조선의 뒤바뀐 운명)
- 청어잡이는 어떻게 은행업으로 발전했을까 (암스테르담은행과 근대 자본주의)
- 튤립 파동은 사실 별다른 충격을 주지 않았다 (금융국가가 된 네덜란드의 쇠퇴)
- 영국, 해적의 나라에서 해상 무역 국가로 (절대왕정과 중상주의)
- 동전 테두리에 톱니무늬를 넣은 아이작 뉴턴 (명예혁명과 영란은행)
- 항상 강했지만, 항상 2인자였던 프랑스 (근세 프랑스의 후진적인 경제 구조)
- 근세의 마지막을 뒤흔든 개2의 투기 사건 (미시시피 버블과 남해 버블)

[제5장] 근대 편
- 왕실 지출장부 공개가 불러온 엄청난 변혁 (프랑스혁명과 나폴레옹 전쟁)
- 세계 금융위기에 영국이 유독 강했던 이유 (19세기 영국의 금융위기와 영란은행)
- 은에서 금으로, 세계 통화의 기준이 바뀌다 (영국의 금본위제와 파운드화의 확장)
- 미국의 양당제는 중앙은행 덕분에 확립되었다 (두 차례의 미국은행 설립과 쇠퇴)
- 링컨 암살의 배후는 정말 금융세력이었을까 (그린백 발행과 자본주의의 발전)
- 『오즈의 마법사』에 담긴 금본위제 이야기 (미국 금본위제의 정착 과정)
- 로스차일드의 진짜 재산 규모는 아무도 모른다 (유대인 금융제국의 탄생과 성장)
- 미국 중앙은행 이름이 ‘준비제도위원회’인 이유 (연방준비제도의 설립)
- 대영제국의 무게와 혁신의 종말 (영국 산업의 쇠락과 후발국가의 부상)

[제6장] 현대 편
- 제1차 세계대전의 최종 승자는 미국이다 (전쟁 전후의 세계 정세)
- 무너지는 파운드화, 떠오르는 달러화 (금본위제 몰락과 금융패권의 변화)
- 시장이 붕괴하는데 유동성을 묶어버린 연준 (세계대공황과 정책 실패)
- 독일은 어떻게 그렇게 빨리 회복했을까 (제2차 세계대전과 소련의 부상)
- 너무나 부러운 천하무적 화폐 ‘기축통화’ (브레턴우즈 체제와 달러의 위상)
- 예루살렘의 꿈이 악몽으로 변하다 (현대 국가의 탄생 및 이스라엘 건국)
- 금을 물리치고 진정한 패권을 완성한 달러 (닉슨쇼크와 스미소니언 협정)
- 스태그플레이션에 맞선 폴 볼커의 외로운 전쟁 (오일쇼크와 플라자합의)
- 미국의 대안정기를 이끈 최장수 연준 의장 (앨런 그린스펀 시대의 정책 변화)
- 정책 당국자가 우유부단하면 벌어지는 일 (일본의 정책 실패와 장기불황)
- 한국도 당한 국제자본의 횡포, 외환위기 (개발도상국의 금융위기)
- 2008년 금융위기로 촉발된 양적완화의 시대 (위기 이후 경제정책의 새 방향)
- 화폐와 금융시스템의 도전은 계속된다 (암호화폐, 그리고 금융의 미래)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작가 소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