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2.06 (화)

  • 흐림동두천 1.7℃
  • 흐림강릉 1.6℃
  • 흐림서울 2.6℃
  • 흐림대전 3.1℃
  • 흐림대구 4.5℃
  • 흐림울산 5.0℃
  • 흐림광주 5.3℃
  • 흐림부산 7.3℃
  • 구름많음고창 5.8℃
  • 흐림제주 7.4℃
  • 흐림강화 1.2℃
  • 흐림보은 2.9℃
  • 흐림금산 3.6℃
  • 흐림강진군 5.9℃
  • 흐림경주시 3.9℃
  • 흐림거제 6.7℃
기상청 제공

전체메뉴

닫기

일반적으로 국가의 경제는 GDP나 GNI로 측정되곤 한다. 

기업들이 규모가 커지면 새로운 문제가 생기는 것처럼 국가도 마찬가지이다. 

미래인증건강신문 정기암 기자 |

경제(나무위키)(4)
일반적으로 국가의 경제는 GDP나 GNI로 측정되곤 한다. 
한 국가의 경제는 무조건 영토가 넓고 인구가 많으면 경제에 유리한 것으로 보기 쉽지만 
실제로는 꼭 그렇지도 않다. 
기업들이 규모가 커지면 새로운 문제가 생기는 것처럼 국가도 마찬가지이다. 
실제 역사에서도 과학기술이 맬서스 트랩을 부수어 버린 이후 
영토와 인구를 극복할 수 있게 되어서 
의외로 이전에 영토와 인구 확보에 열을 올린 국가들보다 
독일과 같은 국가들의 국력이 더 강하기도 했다. 

사실 과학기술이 크게 발전하기 전에도 
넓은 영토와 인구를 가진 제국들도 여러 문제점들이 있어서 
스노볼을 굴리기도 힘들었고 
의외로 취약해서 수치상 국력을 다 발휘하지 못하고 무너져 갔다.

 사실상 대내외의 환경과 내부적 조건, 미래 과학기술의 발전 결과 등을 계산해서 
그에 맞는 적당한 영토와 인구를 유지하는 게 경제에 중요하다.

민심과 직결된 문제 때문에 
정부는 안보, 국방과 더불어서 필수적으로 잘 해야 하는 분야다. 
아무리 부정부패가 심한 나라라도 경제가 잘 돌아가면 
그만큼 정권이 유지는 가능하지만 
감당하기 힘들정도로 경제가 박살나거나 
위기 상황이면 민심은 당연히 뒤집힐 수밖에 없다. 
실제로 정권이 바뀌는 이유 대다수가 경제 문제가 크다고 봐도 무방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