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허가 제도가 중소기업, 소상공인 다 죽이고 일자리를 없앤다. 먹고 살려고 하는 일 마다, 각종 인증, 허가, 등록, 신고해야 한다. 정말 죽을 노릇이다. 영업허가, 영업등록, 영업신고, 안전, 환경, 보건, 품질, 에너지, 신기술/NeT, 신제품/NeP, 소프트웨어, 서비스/디자인, 단체인증, 조달청등록인증, 이노비즈, 벤처, SQ, KC, 해썹(HACCP), 우수건강기능식품(GMP), GAP, 친환경/유기, 할랄, 비건, 코셔, ISO, FSSC, IATF, 클린사업장, 사회적기업, 유망중소기업 등등 수많은 강제, 법정, 민간, 임의 인증제도 들을 없애거나 최소화하고 선택은 기업이 하도록 하여야 한다. 거기다 원료수불부, 생산일지, 판매대장작성, 품목제조보고, 자가품질검사, 유효성평가실험, 건강진단, 위생교육, 실적보고, 자체평가, 영업자 준수사항 등등 쓸데없는 일 하다 세월 다 간다. 일만 열심히 하면 마음 놓고 사업할 수 있어야 한다. 먹고 사는 문제가 해결되어야 건강하며 문화생활을 즐기며 행복하게 봉사하며 오래 살 수 있다. 정부/지자체가 규제/간섭하지 말아야 한다.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목 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2 Ⅱ. 문헌 고찰 5 1. 민간요법과 전통지식 5 2. 근골격계 질환 6 3. 사회연결망분석 8 4. 분류방법 10 Ⅲ. 조사지역 · 조사방법 및 분석방법 14 1. 조사지역의 자연 및 사회 환경 14 2. 조사방법 15 3. 분석 방법 16 Ⅳ. 결과 및 고찰 18 1. 전체 조사지역 연구 결과 18 2. 지리산 지역 연구 결과 47 3. 한라산 지역 연구 결과 62 4. 가야산 지역 연구 결과 76 5. 소백산 지역 연구 결과 89 6. 속리산 지역 연구 결과 103 Ⅴ. 결론 116 참고문헌 120 조사양식 127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1. 문헌 연구 상고시대(신라, 발해 이전)의 사상을 기록한 문헌으로서는 天符經, 三一神誥, 參佺戒經의 3대 문헌이 있었음은 앞에서 말한 바와 같다. 이중 天符經은 자연 과 우주질서의 순환법칙을 난해한 용어로 정립하여 그 해석만 하더라도 천차 만별이며, 또한 수련의 원리적 측면에서 본다면 다다르고자 하는 목적 수준을 제시한 것으로서 방법론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14) 때문에 일반적 내용만 인 용하는 것으로 하였다. 또한 참전계경은 사람과 사람, 사람과 자연 등 대응관계 행동요령이 그 주 축을 이루고 있어 “어떻게”의 내용은 희소하다고 할 것이다.15) 따라서 개인이 14) 정재승, 민족비젼 정신수련법, 서울 정신세계사, 1992, pp. 49∼52. 15) 김청도, 역해 천부경 삼일신고 참전계경, 경북 고대원 출판, 1993, pp. 16∼18. - 8 - 느끼는 수준과 방법은 참조할 내용으로서만 인용하고 「삼일신고」의 내용중 핵심 수련원리를 고찰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왜냐하면 神誥에서는 주로 三神 사상, 즉 하늘과 땅과 사람의 질서가 性, 命, 精으로 이루어진 현상과 본질의 삼분법에 기초를 두고 설명하기 때문인데 오늘날 수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박사학위논문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구전 민간요법의 연결망 분석연구 - 5개 국립공원지역을 중심으로 - A network analysis study of Oral folk remedies for musculoskeletal disorders - Focusing on 5 national park areas - 지도교수 신 정 규 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생명자원융합과학과 유 영 준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제1장 ISO와 제3자 인증제도 제1절 ISO란? 1.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는 국제표준화기구로 비정부 간 기구로서 설립 목적은 다음과 같다. ① 물자 및 서비스의 국제적 교환의 용이성 ② 지적, 과학적, 기술적 및 경제적 활동 분야에 있어서 국제간의 협력의 조장 ③ 세계적 규격의 심의 제정의 촉진 2. ISO9001 1987년 제정된 ISO9000 국제표준은 ‘경영’에 관련된 국제 표준이다. ‘품질시스템(quality system)'을 키워드로 하는 경영 관리 방법에 대한 국제표준은 처음이었다. 9001은 고객에게 제공되는 제품이나 서비스 실현 체계가 규정된 요구사항을 만족하고 있음을 제3자 인증기관에서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인증해주는 제도이다 품질경영시스템 인증기업은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① 품질경영시스템(QMS)의 세계화 추세에 부응 : ② 국제환경변화에 능동적, 효율적 대비 : ③ 전략적인 육성지원 대상기업, 유망 중소기업 또는 해외 수출기업의 ISO 9001 인증 획득요구 : ④ 고객의 기대와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최적의 경영시스템 구축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4. 할랄 실사 조사 리스트(Halal Audit Check List) 할랄 실사 시 사용되는 실사 체크리스트 중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기본서류 ①신청서(주소와 품목 한글 및 영문 표기), ②이슬람 및 할랄 교육 이수 여부, ③사업자 등록, ④공장 등록증, ⑤원료 및 성분내역서, ⑥첨가물 품목 제조 보고서, ⑦제조 공정도 및 설명서, ⑧하청 생산시 하청 계약서, ⑨각종 인증서 사본(HACCP, GMO, ISO, SMDS 등), ⑩수입 원료에 대한 할랄인증서 2.창고 ①할랄 원료와 비할랄 원료 별도 보관 여부, ②위험물질 별도 보관 여부, ③원료명과 성분 표시 여부, ④적정 온도 유지 여부, ⑤청결 상태, ⑥할라 완제품 별도 보관 여부. 3.생산라인 ①탈의실, 화장실, 식당 등 작업 환경과의 분리 여부, ②작업장 출입구에 손 세척기 및 에어샤워기 설치 여부, ③근로자의 위생복 착용과 청결, ④근로자의 위생 수칙 준수 여부, ⑤교차오염 방지 시설 설치 여부, ⑥화장실 출입시 신발 교체 착용 여부, ⑦칭량도구 구비 여부, ⑧CIP 규정 준수 여부, ⑨할랄과 비할랄 별도 생산 여부, ⑩포장지 표시 내용 의무 준수 여부, ⑪공장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 치약 ♣ 나는 지금도 치약을 사용하지 않는다 참으로 징한 분이 계셨다 가나안 농군학교 교장선생님은 치약 많이 사용 말라고 닦달 하셨다 매번 세면실에서 감시하며 그래서인지 치약을 사용하지 않는다 50여년이 지난 지금도 전국에 '잘살아보세' 하는 새마을 노래가 음질이 별로여서 직직거리는 확성기를 통해 전국을 깨웠다 매일 아침 그 때는 다들 그래 우리도 잘 살 수 있어 그래 우리 모두 해 보자 하는 한 마음이 있었다 새벽에 동네 청소하러 나와야 한다면 군말 없이 눈비비고 새벽 같이 나갔다 도로 망가진 것 고치러 나갔다 흘리는 땀방울이 자랑스럽기조차 했다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이상은(李商隱)은 선의 영향 아래에서 무상감과 인간고를 시화했다. 사공도(司空圖, 837~908)는 주로 도피적인 산림(山林)의 정서를 읊어 나갔다. 회창(會昌)의 폐불사건(癈佛事件, 845~847)을 거쳐 오대(五代, 907~959)에 들어서자 선종은 오가(五家)로 분파되면서 더욱 발전을 거듭했다. 이때는 선승 운문문언(雲門文偃, 864~949)이 활동하던 시기다. 운문은 당(唐) 중기 이후 발전해 온 선과 시를 결합시킨 인물이다. 시작(詩作)에 능했던 그는 특히 선문답을 통하여 일자시(一字詩 : 一字關)라는 독특한 선시를 많이 남겼다. 이 무렵 선의 역사서이자 선문답집인 ≪조당집(祖堂集)≫과 ≪전등록(傳燈錄)≫이 간행되었다. 송대(宋代, 960~1279)에 들어서자 운문의 계열에서 설두중현(雪竇重顯, 980~1252)이 나왔다. 그는 모든 시체(詩體)에 능했던 시인이며 동시에 선(禪)의 거장으로서 ≪설두송고(雪竇頌古)≫라는 송고선시집(頌古禪詩集)을 남겼다. 이 송고선시집은 그 후 원오극근(阛悟克勤, 1063~1135)이 주석과 비평을 덧붙여 ≪벽암록(碧巖錄)≫으로 출간, 이 ≪벽암록≫은 그 후 선종의 영원한 명저(宗門第一書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2.연구범위와 방법 연구범위와 방법을 정하기 전에 영가무도에 관한 기본자료와 선행연구에 관해 개괄하고자 한다.영가무도에 관한 뛰어난 업적을 남긴 朴相和는 정역 과 영가무도에 관한 저서들과 매스컴에 기고한 글 등을 남기고 있다.이밖에 그의 영가무도 시연 모습을 담은 비디오,테이프 등이 있다. 특히 나운영이 채보한 그의 영가무도 악보는 그의 저서 쓿正易과 韓國씀에 실려있다.6) 6)朴相和,쓿正易과 韓國씀,共和出版社,1981,356쪽 본 논문 <부록2>에도 이 자료를 게재하였 다. 김남기의 영가무도 공연 테이프를 이용하여 필자의 의뢰로 홍정의가 採譜 하고7)음악적인 평을 한 귀중한 자료도 남아 있다.8) 홍성준이 2005년에 서울 <精神世界院>에서 試演한 자료로 필자가 의뢰하 여 홍정의가 채보한 악보가 함께 첨부되어 있다.이애주는 영가무도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여러 차례 무용 발표를 한 바 있다. 우실하는 노동은 교수가 보관하고 있던 영가무도의 소리를 녹음한 테이프 를 복사할 수 있었다 한다.최근 젊은 소리꾼 김용우가 세 번째 음반인「지 게소리」에 수록된 총 8곡 중에서 7번째 곡으로 ‘영가’(13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