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18 (월)

  • 맑음동두천 10.9℃
  • 구름많음강릉 16.0℃
  • 맑음서울 14.0℃
  • 맑음대전 13.2℃
  • 맑음대구 13.6℃
  • 구름많음울산 17.4℃
  • 맑음광주 14.1℃
  • 맑음부산 19.2℃
  • 맑음고창 11.3℃
  • 맑음제주 19.9℃
  • 맑음강화 12.4℃
  • 맑음보은 11.3℃
  • 구름조금금산 7.5℃
  • 맑음강진군 15.9℃
  • 구름조금경주시 14.7℃
  • 맑음거제 17.0℃
기상청 제공

스마트폰 맡기고 “얼마 빌릴 수 있나요”...전당포 찾는 MZ들 [아무튼, 주말] 고물가에 ‘슬픈 특수’ 뒷골목 급전 창구 전당포

요전번에는 아버지가 돌아가셨는데 장례 치를 돈이 없다고, 패물을 긁어모아 한 300만원을 빌려 갔다가 부의금 받고 다시 가지러 온 사람도 있었지.”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스마트폰 맡기고 “얼마 빌릴 수 있나요”...전당포 찾는 MZ들
[아무튼, 주말] 고물가에 ‘슬픈 특수’
뒷골목 급전 창구 전당포

김은경 기자

과거 전당포에 있던 쇠창살은 사라지고 대신 보안 업체 스티커가 붙어 있다. / 김은경 기자
지난 3일 정오쯤 서울의 한 대학 근처 상가 복도. ‘전당포’라고 붙은 벽 간판 아래로 20대 여성이 터덜터덜 걸어 나왔다. 아이폰을 맡기고 생활비를 빌리려다 너무 구형 모델이라는 이유로 퇴짜를 맞고 나오는 길이었다. 그는 “노트북은 받아준다고 해서 다시 가지러 간다”며 “한 달만 맡겼다가 아르바이트비를 받으면 찾으러 올 것”이라고 했다.

전당포는 물건을 담보로 잡고 돈을 빌려주는 역사 깊은 사금융. 지난해 12월 기준 전당포 이름으로 영업 중인 등록 대부업체는 723곳으로, 전체 대부업체(8818곳)의 8% 가량을 차지한다. 보통 담보물 가액의 50~80% 정도 되는 돈을 대출해 준다. 물건 가치만 따지지 고객의 신용 점수는 보지 않고 기록도 남지 않는다. 신용 점수가 낮아 금융기관 대출이 막혔거나 이미 한도 끝까지 빚을 낸 사람들이 주로 찾아온다. 돈 빌릴 곳 없는 사람들의 종착역, 전당포 문을 두드리는 발길을 관찰했다.

◇아버지 장례비·직원들 임금…
서울 은평구의 한 전당포에서 송종익 사장이 손님에게 신분증을 받고 있다. / 김은경 기자
“띠링~”

서울 은평구 한 전당포의 녹색 철문으로 검은색 모자를 눌러쓴 40대 남자가 들어왔다. 가슴 높이 위로 난 창문 안에서 주인 송종익(73)씨가 맞아준다. “뭐 맡기러 왔어요?” 남자는 경험이 있는 듯 익숙하게 금목걸이와 신분증을 내민다. 송씨가 탁상 조명을 켠다. 돋보기안경을 꺼내 목걸이를 유심히 들여다본다.

“14k 두 돈 반이네. 돈 얼마나 필요해요?”

“얼마까지 돼요?”

“30.”

“아…. 그것밖에 안 되나요?”

남자는 머쓱하게 웃더니 두 번은 묻지 않고 ‘대부 거래 표준계약서’를 써 냈다. 송씨가 책상 서랍에서 5만원권 여섯 장을 꺼내 건넸다. 5분도 안 돼 대출 심사부터 실행까지 모두 끝났다.

송씨는 장부를 펼쳤다. 만년필에 파란색 잉크를 찍어 이름과 연락처, 뭘 맡기고 얼마를 빌려줬는지 내역을 적었다. 마지막에는 ‘중키호리’라고 썼다. ‘중간 키에 호리호리한 체격’이란 뜻. 나중에 목걸이를 찾으러 올 때 본인이 맞는지 확인하기 위한 이중 보안 장치다. 장부에는 ‘키크니’ ‘중키 얼굴넓’ 같은 용모 파기가 빼곡했다.

금목걸이와 계약서 사본을 손바닥만 한 지퍼백에 담고, 커다란 빗장으로 잠겨 있던 창고에 들어선다. 3평 남짓한 창고에는 모피 코트 세 벌이 걸려 있었다. 코로나 사태가 터지기 전에 맡긴 것들인데 찾으러 오지도 않고 제값에 처분도 못해 몇 년째 걸어놓고 있는 것들이라고 했다. 유전 기한(전당물을 맡아놓는 기한)은 기본 6개월부터. 이 기간을 지나 대출 연장을 신청하지 않고 이자도 내지 않으면 처분한다. 나무 궤짝 안에 삼중 잠금을 해놓은 금고를 열자 각종 시계와 귀금속, 명품 스카프 등을 담은 봉투가 빽빽이 들어차 있었다. 이 중에 어떤 봉투는 5년 동안 꼬박 이자만 내고 있는 주인에게 돌아가지 못하고 있다. 금목걸이 지퍼백은 맨 위 칸 서랍에 들어갔다.

송씨가 창고 문에 다시 빗장을 채우고 나와 말했다. “카드 값 막는다고 오고, 장사하는 단골들은 직원들 월급 준다고 오고. 요전번에는 아버지가 돌아가셨는데 장례 치를 돈이 없다고, 패물을 긁어모아 한 300만원을 빌려 갔다가 부의금 받고 다시 가지러 온 사람도 있었지.”

42년 된 이 전당포에는 요즘에도 손님이 꼬박꼬박 찾아온다. 옛날에는 곗돈 주는 날, 요즘에는 카드 대금 내는 날. ‘전당포’ 하면 떠올리는 쇠창살은 사라졌고 대신 월 20만원씩 내는 사설 보안업체 스티커가 철문에 붙어 있다. “요새는 이자가 싸져서 그런지, 맡겨 놓고 잘 안 찾아가네.”

◇스마트폰 맡기고 20만원 꾸는 MZ
서울 동대문구의 한 전당포에 고객들이 맡긴 물품. / 한준호 영상미디어 객원기자
4일 오후 서울 동대문구 한 오피스텔 10층에 있는 프랜차이즈 전당포 상담실에는 자전거와 명품 가방, 고가 브랜드 시계가 진열돼 있었다. 전날 찾은 동네 전당포와는 사뭇 다른 분위기. 전당포라는 간판 대신 ‘팔지 말고 맡기세요’라고 적힌 입간판이 놓여 있다. 이곳 사장은 “이용자의 90%가 MZ(1980년대 초반~2000년대 초반 출생)세대”라고 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등 IT 기기를 들고 전당포에 오는 20대가 많다. 전당포 프랜차이즈 디오아시스 부산점 관계자는 “최근 스마트폰을 맡길 수 있냐고 문의하는 젊은 층이 눈에 띄게 늘었다”며 “보통 전당포는 기한 내 상환을 못 하면 맡긴 물건을 처분하지만, 젊은 분들이 덜컥 맡겼다가 돈을 못 갚는 경우에는 물건을 매입하거나 대신 판매해 주기도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