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1. 문헌 연구
상고시대(신라, 발해 이전)의 사상을 기록한 문헌으로서는 天符經, 三一神誥,
參佺戒經의 3대 문헌이 있었음은 앞에서 말한 바와 같다. 이중 天符經은 자연
과 우주질서의 순환법칙을 난해한 용어로 정립하여 그 해석만 하더라도 천차
만별이며, 또한 수련의 원리적 측면에서 본다면 다다르고자 하는 목적 수준을
제시한 것으로서 방법론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14) 때문에 일반적 내용만 인
용하는 것으로 하였다.
또한 참전계경은 사람과 사람, 사람과 자연 등 대응관계 행동요령이 그 주
축을 이루고 있어 “어떻게”의 내용은 희소하다고 할 것이다.15) 따라서 개인이
14) 정재승, 민족비젼 정신수련법, 서울 정신세계사, 1992, pp. 49∼52.
15) 김청도, 역해 천부경 삼일신고 참전계경, 경북 고대원 출판, 1993, pp. 16∼18.
- 8 -
느끼는 수준과 방법은 참조할 내용으로서만 인용하고 「삼일신고」의 내용중
핵심 수련원리를 고찰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왜냐하면 神誥에서는 주로 三神
사상, 즉 하늘과 땅과 사람의 질서가 性, 命, 精으로 이루어진 현상과 본질의
삼분법에 기초를 두고 설명하기 때문인데 오늘날 수련의 본질인 精, 氣, 神의
관계와 일맥상통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덧붙여 방법과 사상이 가장 잘 수록되
어 있는 문헌 중 조선시대 권극중의 참동계 주해, 매월당 김시습의 수련법, 북
창 정염의 용호비결 등 3사람의 수련법을 분석하여 삼일신고와 비교한 다음,
개념을 정립하고자 한다.
삼일신고(三一神誥)의 수련원리에 대한 현대적 해석과 방법론 이해““김 종 업 이학박사 학위논문, 에서